논문 상세보기

도시 상권 진단정보 도출을 위한 이종 업종 공생 입지 경향 추정 KCI 등재

Measuring Co-location Pattern of Stores for Diagnosing Urban Market Area: The Case of Mapo-Gu, Seou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9402
  • DOIhttps://doi.org/10.16879/jkca.2022.22.3.05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한국지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한국지도학회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초록

이종 업종의 집적을 통하여 편익을 창출하는 효과를 도시화경제라고 한다. 개별 상점의 입지 결정은 도시화경제의 영향을 받아 이루어지는 동시에, 도시화경제를 강화하기도 한다. 따라서 도시화경제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는 것은 도시 내 상권의 공간구조 를 이해하기 위하여 중요하다. 그러나 이종 업종의 집적 패턴을 진단하기 위한 방법론에 관한 연구는 다소 부족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도시 공간상에서 이종 업종 점포 간 지리적 인접·분포 경향성을 추정하기 위한 분석방법론을 제안하는 것이다. 제시한 방법론은 다양한 업종의 공간적 군집을 통하여 형성되는 도시화경제의 핵심 단면을 실증적으로 파악하는데 유용한 수단으로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마포구에 소재한 상점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종 업종 구분은 8개의 대분류 기준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이종 업종이 지리적으로 인접하여 분포하려는 경향성이 전반적으로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마포구 내 특정 지역에 이종 업종 간 공간적 연계성이 뚜렷하게 발견되었다.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분석방법론과 실증 분석 결과는 지역 상권 진단정보로 활용성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effect of creating benefits through the aggregation of heterogeneous industries is called urbanization economy. The location decision of individual stores is influenced by the urbanization economy and at the same time strengthens the urbanization economy. Therefore, more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urbanization economy is important to figure out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commercial district in the city. However, there have been insufficient studies on the methodology for diagnosing the aggregation pattern of different types of busi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ethodological framework for estimating the co-location tendency between stores of different types of business in urban space. The proposed methodology is meaningful as a useful means to empirically grasp the key aspects of the urbanization economy formed through the spatial clustering of various industries. An empirical analysis was made targeting stores located in Mapo-gu, Seoul. Business types were classified into 8 top categories. According to empirical analysis results, it was found that conspicuous were the overall geographic clustering tendencies among different types of business, indicating stores of one type gathered in proximity to another type of business. Furthermore, local hot-spots highlighting co-location tendency among different types were located in some areas of the study region. The proposed methodological framework and empirical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ful as diagnostic information for local commercial districts.

목차
요약
Abstract
I. 서론
II. 이종 업종 간 공간적 연관성 추정방안
    1. 공간 단위별 이종 업종 간 인접・분포 수준정의
    2. 이종 업종 간 전역적 공생 입지 경향 추정방법론
    3. 이종 업종 간 국지적 공생 입지 경향 추정방법론
III. 실증 분석
    1. 전역적 공생 입지 경향 실증 분석 결과
    2. 국지적 공생 입지 경향 시각화 결과
IV. 결론 및 향후 연구

참고문헌
저자
  • 이경주(한국교통대학교 도시・교통공학과 교수) | Gyoungju Lee (Professor, Department of Urban and Transportation Engineeri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 손종혁(한국교통대학교 도시・교통공학과 석사과정) | Jonghyuck Son (Graduate Student, Department of Urban and Transportation Engineeri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 홍성조(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 교수) | Sungjo Hong (Professor, Department of Urban Engineer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