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Report on the Eradication of Nutria (Myocastor coypus Molina, 1782), an Invasive Alien Species, from Jeju-do, South Korea - Case of Songdang-ri, Jeju-si - KCI 등재

제주도 침입외래생물 Nutria (Mycastor coypus Molina, 1782)의 퇴치 사례 보고 - 제주시 송당지역의 사례 -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947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본 연구는 제주특별자치도에 유입된 Myocastor coypus Molina, 1782 (Nutria)의 퇴치를 위해 이루어졌다. 서식확인 및 퇴치는 2013년 9월부터 2013년 11월까지 이루어졌고, 그후 퇴치 성공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2022년 6월까지 조사가 이루어졌다. 서식 확인 및 포획은 무인카메라, 청문조사, 문헌조사, 먹이유인을 통한 트랩 포획법을 사용하여 진행하였다. 후속조사는 Nutria의 행동반경을 감안하여 조사범위를 비교적 넓게 설정하여 서식지역(퇴치지역)을 중심으로 4.0㎢ 내 습지 및 하천 조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서식 확인지역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송당리 소재의 송당목장에 서만 발견되었으며, 방목장 내 수로와 연못에서 서식흔적(족적, 배설물, 굴)이 확인되었다. 포획개체는 총 8개체였으며, 암컷 4개체, 수컷 3개체였다. 1개체는 서식확인 시 확인되어 부패 정도가 심해 암·수의 구별이 어려웠다. 후속조사는 설정한 조사범위 내 항시 물이 있는 성읍저수지, 천미천, 몰순이못을 중심으로 서식지와 그 주변을 정밀조사하였으나 서식흔적이 확인되지 않았다. 따라서, 제주도에 서식하는 Nutria는 완전히 퇴치된 것으로 판단된다. 제주특별자치도에서 Nutria의 퇴치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것은 Nutria의 서식 확인 후 빠른 포획을 통해 정착단계 초기에 퇴치가 이루진 것과 제주도 지질 특성상 물이 항시 고여있는 습지가 드물어 확장의 시기가 늦어진 것이 시너지 효과를 일으켜 성공적인 퇴치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이 결과들은 외래종의 유입에 대한 대처는 그 종의 생태특성을 신속하게 파악하고, 올바른 대처를 통해 확장단계 이전 정착 초기 단계에서 관리 및 퇴치를 통해 교란이 일어나기 전 또는 교란 초기에 차단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인 방법임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liminate Myocastor coypusMolina, 1782 (Nutria) from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South Korea. Habitat identification and eradication were carried out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13, and a survey was carried out until June 2022 to check whether the eradication was successful. The habitat was identified with unmanned cameras, interviews, and literature surveys, and the capture was performed using the trapping method with food to attract nutria to the habitat area. The study area for the follow-up survey, which was set relatively wide considering nutria's home range, included wetlands and rivers within 4.0 ㎢of the habitat area (eradication area). As a result, nutria’s habitat was confirmed only at Songdang Ranch, Songdang-ri, of Jeju Island, with traces of habitat (footprints, excrement, and burrows) confirmed in waterways and ponds within the pasture. Eight individuals were captured, including four females, three males, and one individual in too advanced a state of decay to identify the sex. The follow-up survey thoroughly investigated the habitat and its surroundings, focusing on three areas with permanent water, Seongeup Reservoir, Cheonmi Creek, and Molsuni Pond, but no signs of habitat were identified. Therefore, it is determined that nutria inhabiting Jeju Island has been completely eradicated. It is believed that the successful eradication of nutria in the Jeju Special Autonomous Region was possible due to a synergy between 1) the eradication of nutria at the beginning of the settlement phase through rapid capture after confirming the nutria habitat and 2) the delayed expansion period because of rare presence of wetlands, where water is constantly stagnant, on Jeju Island. These results imply that quickly identifying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pecies and preventing disturbances before they or at the beginning of the ecological disturbance through control and eradication at the initial stage of settlement before the expansion stage is an effective measure to cope with the influx of alien species.

목차
ABSTRACT
요 약
INTRODUCTION
MATERIALS AND METHODS
    1. Research area
    2. Dates of surveys
    3. Investigation method
RESULTS AND DISCUSSION
    1. Unmanned camera investigation
    2. Nutria capture
    3. Follow-up study
    4. Nutria management plan
ACKNOWLEDGEMENT
REFERENCES
저자
  • Ga-Ram Kim(제주대학교 대학원 과학교육학부 박사과정수료) | 김가람
  • Jun-Won Lee(제주대학교 대학원 과학교육학부 박사과정수료) | 이준원
  • Seon-Mi Park(제주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박사후연구원) | 박선미
  • Sung-Hwan Choi(제주대학교 차세대융복합과학기술협동과정 박사과정수료) | 최성환
  • Young-Hun Jung(제주대학교 차세대융복합과학기술협동과정 박사과정) | 정영훈
  • Hong-Shik Oh(제주대학교 과학교육학부 교수) | 오홍식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