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 특산식물 미선나무의 이화주성(Distyly) 및 개체군 크기 KCI 등재

Distyly and Population Size of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an Endemic Plant in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948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미선나무(Abeliophyllum distichum Nakai)는 오직 한반도 일부 지역에 제한적으로 자생하는 특산식물이며, 지구범위 인 IUCN Red List Endangered로 평가·등재되어 있는 이화주성(distyly, 二花柱性) 특성을 가진 희귀식물이다. 본 연구는 미선나무 자생 개체군 8개 지역과 천연기념물 개체군 6개 지역 등 총 14개 지역의 정량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미선나무 이화주성에 따른 개화 특성과 개체군 크기를 비교·분석함으로써 향후 미선나무 개체군에 적합한 현지 내 보전관리방안 정립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개체군별 출현 개체는 전수조사하였으며, 각 개체의 화기 형태로 장주화·단 주화 개체를 식별해 개화 개체를 현장에서 조사·기록 후 분석하였다. 미선나무 전체 출현 개체 수는 총 13,130개체(개화 7,003개체, 미성숙 6,127개체)로 각 개체군의 장주화·단주화 개화 개체 수 적정 균형 상태가 유의적(P<0.05)이지 않고, 불균형한 상태를 나타냈다. 특히, 영동 개체군은 타 개체군 대비 매우 불균형적 형태를 나타내 타 개체군과 비교했을 때 유전다양성이 낮고, 근친교배 가능성이 클 것으로 추정된다. 관리 단위별 평균 개화·결실률은 각각 자생 개체군 39.0%, 8.5%, 천연기념물 개체군 89.2%, 55.3%로 천연기념물 개체군이 자생 개체군 대비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는 상층 수관 울폐 차이에 따른 임내 광유입 변화와 관계된 생식 생장 크기 차이로 사료된다. 한반도 내 미선나무 전체 점유면적은 23,224.5㎡이었고, 천연기념물 개체군이 자생 개체군 대비 개체군 점유 면적은 작으나 밀도는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일정 면적에 대한 보호시설 설치로 개체군 확산에 제약이 있는 천연기념물 개체군 내 주기적인 관리가 천연기념물 개체군 밀도를 높인 주된 요인일 것으로 추정된다. 미선나무 보전을 위해서는 현재 인위적·유전적 교란이 의심되는 천연기념물 집단을 해제하고, 새로운 보호구역을 신규로 지정함으로써 보전 우선 개체군의 확대가 필요하다. 천연기념물 개체군의 경우 문화재청과 지자체에서 자생지 관리가 이뤄지고 있으나 자생 개체군의 경우 관리 주체가 전무한 실정으로 미선나무 전반적 관리에 대한 제도적 개선이 우선적으로 이뤄져야 할 것이다.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a rare plant with distylous characteristics, is native to certain parts of the Korean Peninsula. It is registered on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as a globally endangered plan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an appropriate local conservation management plan suitable for future A. distichum population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flowering characteristics and population size according to distyly based on the results of quantitative surveys in 14 regions, including 8 areas with native populations of A. distichum and 6 natural monument populations. The number of individuals appearing in each population group was surveyed, and the flowering individuals were identified by style as being either pin or thrum flower types as they were being examined and recorded on the site. In total, 13,130 individuals of A. distichum (7,003 flowering and 6,127 non-flowering individuals) were recorded, but the balance of the number of pin- and thrum-flowered individuals in each population was not significant (p<0.05), indicating an imbalanced state. In particular, the Yeongdong (YD) population was very disproportionate compared to other populations, suggesting that its genetic diversity was low and the possibility of inbreeding was high. The average flowering and fruiting rates by management unit were much higher in the natural monument populations (89.2% and 55.3%, respectively) than in the natural habitat populations (39.0% and 8.5%, respectively). It may be due to a difference in reproductive growth resulting from light inflow into the forest caused by the upper crown closure. The area of occupation (AOO) of A. distichum on the Korean Peninsula covered an area of 23,224.5 ㎡. Although the natural monument population was smaller than the natural habitat population, its density was higher, likely as a result of the periodic management of natural monument populations, where the installation of protective facilities in certain areas restricts population spread. Conservation of A. distichum populations requires removing the natural monument populations suspected of anthropogenic and genetic disturbances and expanding the conservation priority population by designating new protected areas. Although the habitats of natural monument populations are managed by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d local governments, there are no agencies that are responsible for managing natural habitat populations. Therefore, institutional improvement in the overall management of A. distichum should be prioritized.

목차
요 약
ABSTRACT
서 론
연구방법
    1. 연구대상지 개황
    2. 이화주성(Distyly) 특성 조사
    3. 점유면적 분석
결과 및 고찰
    1. 미선나무 개체군의 이화주성 특성
    2. 미선나무의 점유면적
    3. 미선나무 보전방안 제언
REFERENCES
저자
  • 김소담(국립수목원 정원식물자원과 박사연구원) | So-Dam Kim (Garden and Plant Resources Division, Korea National Arboretum)
  • 문애라(국립수목원 정원식물자원과 박사연구원) | Ae-Ra Moon (Garden and Plant Resources Division, Korea National Arboretum)
  • 권신영(국립수목원 정원식물자원과 석사연구원) | Shin-Young Kwon (Garden and Plant Resources Division, Korea National Arboretum)
  • 윤석민(국립수목원 정원식물자원과 객원연구원) | Seok-Min Yun (Garden and Plant Resources Division, Korea National Arboretum)
  • 김휘민(국립수목원 정원식물자원과 석사연구원) | Hwi-Min Kim (Garden and Plant Resources Division, Korea National Arboretum)
  • 이동형(국립수목원 정원식물자원과 석사연구원) | Dong-Hyoung Lee (Garden and Plant Resources Division, Korea National Arboretum)
  • 손성원(국립수목원 정원식물자원과 임업연구사) | Sung-Won Son (Garden and Plant Resources Division, Korea National Arboretu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