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설문조사와 모델링 기법을 활용한 열환경 분석 방법 비교 연구 - 열쾌적성을 중심으로 - KCI 등재

Comparison of Thermal Environment Analysis Methods using Survey and Modeling Techniques - Focused on Thermal Comfort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970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본 연구는 정확한 열환경 평가를 위해 옥외 공간에서 체감하는 열쾌적성과 미기후 모델링을 통해 산출된 열쾌적지수의 차이점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에 위치한 대학 캠퍼스 두 곳을 대상으로 하여 열쾌적성을 평가하는 두 가지 방법론을 적용하고 분석 결과를 비교하였다. 첫 번째 방법은 현장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하여 시민들의 열쾌적성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며, 두 번째 방법은 미기후 모델인 ENVI-met을 활용하여 열쾌적지수(PMV)를 수집하는 것이다. 또한, 열쾌적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그늘의 특성과 토지피복 특성을 기준으로 캠퍼스 내 상세 대상지를 선정하고 이러한 요인이 열쾌적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두 대학의 분석 일시와 장소가 달랐으나 방법론별 유사한 양상이 나타났다. 먼저, 설문조사 결과 그늘의 양이 증가할수록 쾌적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토지피복의 종류별 특성과는 다른 결과가 나타났다. 다음으로 모델링 결과 전반적으로 설문조사 결과와 비슷한 양상이 나타나지만 동일한 그늘의 특성을 가지는 세부 대상지에서 토지피복이 열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피복일 경우 열쾌적지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설문조사 결과와 미기후 모델링 결과 간에 차이가 존재하며, 정책 반영을 위한 열쾌적성 정보의 수집 시 현장 기반의 체감 더위 정보의 수집을 통해 정확한 정보를 활용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ims to fi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hermal comfort index calculated through microclimate modeling and experienced thermal comfort by survey in the field. For this purpose, two methodologies for evaluating thermal comfort were applied to two university campuses and the analysis results were compared. The thermal comfort information of citizens was collected through field surveys, and the thermal comfort index (PMV) was collected using ENVI-met, a microclimate model. In addition, detailed sites for each campus were selected based on the amount of shade and land cover, and the effect of these factors on thermal comfort was analyzed. As a result of this study, although the time and place of the analysis were different, the aspects of thermal comfort by methodology were similar to the two campuses. First, as a result of the survey, it was comfortable as the amount of shade increased, and the thermal characteristics did not match depending on the type of land cover. Second, the simulation results were generally similar to the survey results, but it was found that the detailed sites with similar amounts of shade were more affected by land cover among factors. In conclusion, there exists a difference between the thermal comfort index results through the microclimate simulation and the thermal comfort results through the field-based surveys. Therefore, when collecting thermal comfort data to reflect thermal environment policies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use a field-based thermal information collection method to collect accurate data.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범위
    2.2 연구범위
3. 결과 및 고찰
    3.1 A대학교의 열쾌적성 분석결과
    3.2 B대학교 열쾌적성 분석결과
    3.3 열쾌적성 분석 결과 종합
4. 결론
References
저자
  • 김주은(경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JuEun Kim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손정민(경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JeongMin So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민진규(경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JinKyu Mi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성욱제(경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UkJe Su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엄정희(경북대학교 산림과학·조경학부 조경학전공) | JeongHee Eum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o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