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환경예술의 관점에서 특수교육 공간환경의 기능성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Function of Special Educational Space Environment from the Perspective of Environmental Ar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978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500원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예술연구))
초록

본 논문은 환경예술에서 환경 공간의 기능성을 바탕으로 특 수교육을 위한 환경 공간에 대한 기능적 디자인을 탐구하려는 목적이다. 본 연구는 특수교육 환경 공간의 기능성 디자인 원 칙과 디자인 방법 및 디자인 동향으로 나누어 진행한다. 이를 위하여 특수교육 수용자의 기능적 공간 수요를 발굴하고, 특수 교육 체계에서 환경 공간디자인 모듈을 보완하여 환경예술 디 자인을 각 사회집단에 가장 적합하게 하려고 한다. 결과적으로 인문적 배려를 강화하여 공간환경을 기능적 장벽을 제거하여 수용자의 감성적 장벽을 해소할 수 있도록 개선하는 방법을 마 련하는 것이 본 논문의 취지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functional design of the environmental space of special education based on the functionality of the environmental space in the environmental art. This study is conducted by dividing it into functional design principles, design methods, and design trends of special education environment spaces. To this end, the functional space demand of special education recipients is discovered, and the environmental space design module is supplemented in the special education system to optimize environmental art design for each social group. In the en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pare a method to change the spatial environment so that the emotional barrier of the audience can be resolved without functional barriers by strengthening humanistic consideration.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Ⅱ. 특수교육의 환경공간 기능성 디자인 원칙
    1. 특수 집단의 생리적 요구
    2. 특수 집단의 심리적 욕구
    3. 특수집단의 사회적 욕구
    4. 특수집단의 재활적 욕구
Ⅲ. 특수교육 환경공간의 디자인 방법
    1. 환경 질감 디자인
    2. 환경공간 무장애 디자인
    3. 공간기능 전문화
Ⅳ. 특수교육공간의 기능성 디자인 동향
    1. 공간의 인문학적 배려 경향
    2. 다목적 성장성 공간의 디자인 경향
    3. 지속 가능한 발전 추세
    4. 환경의 보완적 설계 경향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GAOBING(유화대학 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