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중년여성의 기공운동 참여동기가 노화불안과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후보

The Effects of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n Qigong of Middle-aged Women on Aging Aniety and Self-Ident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988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900원
자연치유연구 (The Journal of Natural Healing)
초록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기공운동 참여동기가 노화불안과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기공이 중년여성의 갱년기 적응을 돕는 운 동으로 주목받으나 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논의가 없었다는 점 에서 의의를 갖는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서 기공운동에 참여한 중년여성 187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 년여성의 참여동기가 노화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참여동기의 활동지향적 요인만 노화불안에 유의미하게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년여성의 참여동기는 활동지향적 요인만 자아정체감에 유의미하게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참여동기의 하위요인인 학습지향적, 목표지향적 요 인은 노화불안과 자아정체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기공운동 프로그램에 중년여성의 활동지향을 촉진시키는 방법을 모 색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effects of middle-aged women’s participation motives in Qigong on aging anxiety and self-identity. To this e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results of a survey of 187 middle-aged women who practiced Qigo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only the activity-oriented factor of participation motives of middle-aged women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ir aging anxiety. Second, only the activity-oriented factor of the middle-aged women’s participation motive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ir self-identity.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learning-oriented and goal-oriented factors, the sub-factors of participation motive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aging anxiety and self-identity.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activity-oriented factor, a sub-factor of middle-aged women's participation motives, the lower the aging anxiety level and the higher the level of self-identity. This suggests that efforts to promote activity orientation of middle-aged women's in Qigong program are needed so as to alleviate their aging anxiety and enhance their self-identity.

목차
요 약
Abstract
1. Introduction
2. Study method
    2.1 연구대상
    2.2 연구설계
    2.3 측정도구
    2.4 자료 분석
3. Results
    3.1 기술통계분석
    3.2 대상자의 참여동기, 노화불안, 자아정체감 간의 관계
    3.3 참여동기가 노화불안에 미치는 영향
    3.4 참여동기가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4. Discussion & Conclusion
References
저자
  • 변유정(Korea Health Qigong Association) | You-Jeong Byeon Corresponding Author
  • 임동호(Naturopathy, Dongbang Culture Univ.) | Dong-Ho L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