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황해와 동중국해에서의 유의파고와 파향의 시공간 변동성 KCI 등재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of Significant Wave Height and Wave Direction in the Yellow Sea and East China S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996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해양의 파랑은 지구온난화 및 기후변화의 중요한 지표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기후변화와 동아시아 몬순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황해 및 동중국해역에서의 유의파고 및 파향의 시공간 변동성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유럽중기예보센터(European Centre for Medium-Range Weather Forecasts; ECMWF)에서 제공하고 있는 5세대 모델 재 분석장 (ECMWF Reanalysis 5, ERA5) 자료를 활용하여 황해 및 동중국해역에서의 유의파고와 파향의 공간분포와 계 절 및 경년변동을 포함하는 시공간 변동성을 분석하였다. 모델 재분석자료를 활용한 유의파고와 파향의 변동성 분석에앞서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관측 자료와의 비교를 통하여 정확도를 검증하였다. 평균 유의파고는 0.3-1.6 m의 범위를 보 였으며 북쪽에 비해 남쪽이 높고 연안에 비해 황해 중심부에서 높은 공간분포 특성을 보였다. 유의파고의 표준편차 또 한 평균과 유사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황해에서 유의파고와 파향은 뚜렷한 계절변동성을 보였다. 유의파고의 경우 전반 적으로 겨울철에 가장 높았으며 늦봄 또는 초여름에 가장 낮았다. 파향은 계절풍의 영향으로 겨울철에는 주로 남쪽으로 전파되었으며 여름철에는 북쪽으로 전파되는 특성이 나타났다. 유의파고의 계절변동은 여름철 태풍 등의 영향으로 해마 다 연 진폭의 큰 변화를 가진 강한 경년변동성을 보였다.

Oceanic wind waves have been recognized as one of the important indicators of global warming and climate chang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of significant wave height (SWH) and wave direction in the Yellow Sea and a part of the East China Sea, which is directly affected by the East Asian monsoon and climate change. In this study, the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including seasonal and interannual variability of SWH and wave direction in the Yellow Sea and East China Sea were analyzed using European Center for Medium-Range Weather Forecasts (ECMWF) Reanalysis 5 (ERA5) data. Prior to analyzing the variability of SWH and wave direction using the model reanalysis, the accuracy was verified through comparison with SWH and wave direction measurements from Ieodo Ocean Science Station (I-ORS). The mean SWH ranged from 0.3 to 1.6 m, and was higher in the south than in the north and higher in the center of the Yellow Sea than in the coast.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SWH also showed a pattern similar to the mean. In the Yellow Sea, SWH and wave direction showed clear seasonal variability. SWH was generally highest in winter and lowest in late spring or early summer. Due to the influence of the monsoon, the wave direction propagated mainly to the south in winter and to the north in summer. The seasonal variability of SWH showed predominant interannual variability with strong variability of annual amplitudes due to the influence of typhoons in summer.

목차
Abstract
요 약
서 론
자료 및 방법
    파랑 재분석자료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관측 파랑 자료
    모델 재분석자료 정확도 평가
    유의파고 경년변동 분석
연구 결과
    수치모델 재분석-관측 유의파고 및 파향 비교
    황해 및 동중국해역에서의 유의파고 공간분포
    유의파고와 파향의 계절 변화
    황해 및 동중국해역에서의 유의파고 경년변동
토의 및 결론
사 사
References
저자
  • 우혜진(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Hye-Jin Woo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 박경애(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 Kyung-Ae Park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Center for Educational Research, Seoul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정광영(국립해양조사원 해양과학조사연구실) | Kwang-Young Jeong (Ocean Research Division,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dministration)
  • 변도성(국립해양조사원 해양과학조사연구실) | Do-Seong Byun (Ocean Research Division,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dministration)
  • 오현주(국립해양조사원 해양과학조사연구실) | Hyun-Ju Oh (Ocean Research Division,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dmin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