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고려시대 나한상 도상 연구 -두건 도상을 중심으로- KCI 등재

An Iconicgraphic Study of the Arhat Statues in the Goryeo Dynasty -Focusing on a Iconography of ‘Arhat With a Hoo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014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000원
東洋美術史學 (동양미술사학)
동양미술사학회 (Association of Asian Art History)
초록

나한신앙은 나말여초 시기 중국 절강성 천태산에서 유입되어 고려시대 성행한 불교신앙 중 하나이다. 고려시대 사람들은 나한이 천태에서 비롯되었음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나한재 를 통해 祈雨, 國難克服, 長壽 등 현세와 관련 깊은 소원을 빌었다. 고려시대의 나한상은 천태종이 발원한 중국 절강성 지역 나한상의 영향을 받아 독특한 자 세로, 다양한 지물과 함께 조성되었다. 고려시대에는 동시기 중국의 나한상에선 볼 수 없는 ‘두건’을 쓴 나한도상도 등장하였는데, 이러한 도상은 승가대사상의 영향을 받아 제작된 것 으로 생각된다. 이 영향에는 천태종단의 배경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중국 천태종의 본산인 국청사에서는 북송시기 지자대사, 승가대사, 그리고 나한을 함께 모셨다는 기록이 전한다. 관음신행을 중시한 천태종단에서는 관음의 화신인 승가대사를 수용 하였으며, 나한과 관음을 동일시하였기에 세 존상을 함께 모신 것으로 보인다. 국청사를 방 문하였던 고려의 승려들은 두건을 쓴 승가대사와 지자대사를 보았을 것이다. 지자와 승가 모 두 두건을 쓴 신이한 승려이므로, 신이한 승려인 나한에게도 이 이미지가 적용될 수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Arhat worship, introduced from China during the time of Late Unifed Silla and the Early Goryeo, was one of the famous worships in the Goryeo Dynasty. People of the Goryeo Dynasty hold arhat ceremony(羅漢齋) to pray for rain and longevity. And the people knew that the Arhat worship was originated from Tendai sect(天台宗). Arhat Statues, under the influence of the statues in China, iwere made into various postures and carved with various ritual objects. During the Goryeo period, an iconography of ‘Arhat with a hood’ was also appeared, which was not found in China during the same period. It seems that the “Arhat with a hood” was influenced by the iconography of Sengjia Dashi(僧伽大師). The iconography of Arhat was derived from Sengjia Dashi under the Tendai sect(天台宗)’s influence. The belief of Sengjia Dashi was prevalent throughout China, and it is recorded that Arhat, Sengjia Dashi, and Zhiyi Dashi(智顗大師) were enshrined together at the Guoching Temple(國淸寺), the home of the Tendai sect in Zhejiang Province(浙江省), China. It seems that Tendai sect valued Guanyin(音信) so they accepted Sengjia Dashi, a incarnation of Guanyin, and enshrined Guanyin and Arhat together because they recognized them as the same statues. The monks of Goryeo, who visited the temple, saw Zhiyi and Senggia wearing hoods. Since the both are divine monks wearing hoods, it is believed that this image could be applied to Arhat, also a divine monk.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고려시대 나한상의 조성 배경
    1. 중국 나한신앙의 성립과 한반도 전래
    2. 고려시대 나한신앙과 나한에 대한 인식
Ⅲ. 고려시대 나한상 도상의 특징
    1. 吳ㆍ北宋代 나한상의 영향
    2. 고려시대 나한상의 독특한 도상, 두건
Ⅳ. 僧伽大師信仰과 두건을 쓴 나한도상의 등장
    1. 고려시대 승가대사신앙과 나한신앙
    2. 승가대사와 나한에 대한 천태종의 인식
Ⅴ.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
  • 김동현(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 | Kim, Dong-hyun (National Memorial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