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양 본의리 소조 불상 대좌의 제작기술은 지금까지 주로 육안관찰을 통해 해석되었다. 그러나 대좌에 존재하는 제작흔들은 상당히 미시적인 형태를 보이고, 다양한 시각적 간섭을 받아 육안이나 탁본을 통해 파악하는 것이 쉽지 않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3차원 스캔데이 터를 기반으로 기하정보 매핑과 렌더링 기술을 적용하여 대좌의 제작흔을 입체적이고 가시적 으로 분석하였다. 본의리 대좌에 존재하는 포목흔, 지두흔, 받침모루흔, 타날흔, 접합흔, 절 단흔, 명문과 문양, 손잡이, 이음 구조 등으로 볼 때 성형-분할-건조-소성-조립의 체계적인 설계를 바탕으로 제작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워낙 대형의 크기를 가져 자연건조와 소성 과정 중 수축과 뒤틀림이 발생하여 실제 사용은 불가능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 고 전체적인 규모와 제작기술로 볼 때 국내에서 유래를 찾을 수 없을 정도로 독특한 벡제 토제 기술을 보여주는 문화유산이라고 할 수 있다. 디지털 가시화 기술은 본의리 대좌뿐만 아니라 향후 토제 유물의 제작기법 해석에 있어 중요한 방법론으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making technique of the clay Buddha pedetal in Bonuiri, Cheongyang has been interpreted mainly through visual observation. However, the making traces on the pedestal show a fairly microscopic shape, and it is not easy to grasp them with the naked eye or rubbing due to various visual interference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making traces of the pedestal were analyzed three-dimensionally and visually by applying geometric information mapping and rendering technology based on three-dimensional scan data. Judging from the fabric marks, finger marks, support anvil marks, tapping marks, joining marks, cut marks, inscriptions and patterns, handles, and joint structures existing on the Bonuiri pedestal, it is believed to have been made based on the systematic plans of molding-division-drying-firing-assembly. However, due to its large size, shrinkage and distortion occurred during the natural drying and firing process, making it impossible to actually use it. Nevertheless, in terms of the overall scale and making technology, it can be said that it is a cultural heritage that shows the unique earthenware technology of Baekje Dyansty that cannot be found in Korea. It is believed that digital visualization technology will be used as an important methodology in interpreting the making techniques of earthenware artifacts in the future as well as the Bonuiri pedest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