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고등학생과 대학생이 지각하는 원격교육의 불평등에 대한 구성주의적 근거이론 접근 KCI 등재

The Effect of Online Learning on Educational Inequality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and University Stude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062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800원
미래교육연구 (The Journal of Future Education)
한국미래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of Future Edcation)
초록

코로나 로 고등학교와 대학교에서 장기간 원격교육이 19 실시된 이후, 다수의 선행 연구는 각각의 교육 기관에서 교육 불평등이 전반적으로 심화되었음을 밝혔다. 그러나 교육 결과의 불평등에 한하여 상이한 결과가 확인되었는데 고등학교는 학력 격차가 커지면서 불평등이 악화되는 양상을 보였으나 대학교는 학 력 격차가 감소하면서 불평등이 완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고등학생과 대학생 모두 졸업 이후 대학생 혹은 직장인이 되어 전에 비해 상당한 양의 자유와 책임을 갖는다는 점을 감안할 때, 사회적 맥락에서 두 집단 은 유사한 기능을 담당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고등학교와 대학교의 기능상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원격 교육 이후 교육 결과의 불평등에서 상이한 결과가 나타난 원인을 탐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이를 밝 히기 위해 원격교육이 실시되는 기간 동안 고등학교 혹은 대학교를 다닌 학생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 하고 구성주의적 근거이론을 기반으로 인터뷰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불평등 해소를 위한 학교의 역 할에 대한 인식 차이가 교육 정책에 영향을 미쳐 궁극적으로 교육 결과의 불평등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드러났다. 나아가 본 연구는 학생들이 불평등 해소에 있어 구조의 역할에 대한 선명한 인식을 견지하는 것이 교육 정책에 학생들의 의견을 반영하는 출발점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fter long-term online learning has been conducted in high schools and universities due to COVID-19, a number of preceding studies have revealed that educational inequality has widened overall, irrespective of educational institution. However, results regarding inequality of educational outcome differed depending on the type of educational institution. In high schools, inequality deepened with the widening academic achievement gap, while inequality decreased in universities with the academic achievement gap narrowed. Considering the fact that both high school graduates and university graduates earn a considerable amount of freedomand responsibility after their graduation, the two groups can be seen as serving similar functions in a social contex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lore why there is such a discrepancy in inequality of educational outcomes between the two after online learning, despite the similarities in their functions. In order to explain such discrepancy, this study conducted interviews with students who received online learning in high school or universit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d analyzed the interviews based on the constructivism grounded theory. The study revealed that the different perception about the role of schools in resolving inequality influenced education politices, which ultimately impacted inequality in educational outcomes. Furthermore, the study found that students who maintain a clear perception about the role of structure in resolving inequality can be the starting point for creating educational policies that reflect opinion of students.

목차
요 약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원격교육
    2. 교육 불평등
Ⅲ. 연구방법
    1. 근거이론
    2. 연구대상 및 자료 수집
    3.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4. 자료 분석
Ⅳ. 연구결과
    1. 초기 코딩과 초점 코딩
    2. 이론적 코딩
Ⅴ. 결론 및 의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오주연(연세대학교 사회학과) | Oh Juyeon
  • 방재임(경기대학교 교양학부) | Bahng Jaei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