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주요 참나무류 수종인 신갈나무, 굴참나무, 상수리나무의 임분밀도와 생장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수종 간 비교를 통해 생장 유사성 여부를 판별하여 임분밀도관리도 개발 시 주요 참나무류의 생장 예측 모형개발의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제7차 국가산림자원조사의 신갈나무, 굴참나무, 상수리나무 우점림과 참나무류 혼효림의 임분생육 자료를 기반으로 수종별 경쟁-밀도효과 곡선을 산출하고 수종 간 교차 적용 후 차우검정(Chow test)을 통해 생장 유사성을 평가하였다. 수종별 경쟁-밀도효과 곡선은 ha당 1,000본에서 평균 재적이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역 J자형을 나타내었다. 생장 유사성 평가 결과, 상수리나무와 굴참나무는 유사한 생장 패턴을 보였지만 신갈나무는 상수리나무 및 굴참나무와 생장 패턴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나무류 혼효림은 굴참나무를 제외한 다른 수종들과 유사한 생장 패턴을 나타내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a growth prediction model for the major oak species (Quercus mongolica, Q. variabilis, Q. acutissima)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tand density and growth. For data analysis, information on stand growth of Q. mongolica, Q. variabilis, Q. acutissima dominant forests and mixed oak forests of the 7th national forest inventory data was used. Based on the data, competition-density effect curves for each species were calculated, and growth similarity was evaluated through a chow test after cross-applied between species. The curve for each species showed an inverted J-shape with a tendency for the average number to decrease rapidly at 1,000 trees per ha. As a result of the growth similarity evaluation, Q. acutissima and Q. variabilis showed similar growth patterns, but Q. mongolica was analyzed to have a difference in growth pattern from Q. acutissima and Q. variabilis. It was analyzed that the mixed oak forests showed a growth pattern similar to that of other tree species except Q. variabil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