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부모, 친구, 교사와의 애착이 청소년비행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effect of attachment to parents, friends and teachers on juvenile delinquenc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161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800원
한국과 세계 (Korea and World Review)
한국국회학회 (Korea Society of Assembly Studies)
초록

이 연구에서는 부모와 친구, 교사와의 애착이 청소년비행에 미치는 영 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부모, 친구, 교사와의 애착이 각각 지 위비행, 폭력비행, 재산비행, 성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애착을 세부적으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어느 정도의 친밀함이 비행에 어떠한 영 향을 주는지 분석한다. 분석 결과, 지위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 간 에 상대적 영향력을 평가하면, 부모와의 애착 중에는 시간(=-.114)이 가장 큰 영향력을 보이고, 교사와의 애착 중에는 관계(=-.083)만이 영 향력을 보인다. 폭력비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사와의 애 착 중 관계이다. 재산비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사와의 애 착 중 관계로 나타나며 이는 폭력비행과 같은 결과이다. 성 비행의 경우 에는 교사와의 애착 중 관계(=-.105)가 전체 애착 요인 중에서도 가장 높은 영향력을 보인다. 이 연구에서는 친밀도를 측정한 문항을 하나의 변수로 묶지 않고 각각의 영향력을 따로 분석하여 선행연구와 차별된 결 과를 얻었다. 이 연구는 청소년의 비행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청소년 개 개인에게 세부적인 처우가 제공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The research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attachment to parents, friends and teachers on juvenile delinquency. Attachment to parents, friends and teachers will be examine each for their effect on status violation, violence, property crimes and sexual deviance. In results, among variables affecting status violation, the strongest variable in attachment to parents was time(B=-.114). The strongest variable affecting violence was relationship in attachment to teachers. In attachment to teachers, the only significant variable was relationship(B=-.083). The strongest variable affecting property crime is relationship in attachment to teachers, which is the same result as violence. In sexual deviance, the strongest variable is attachment to teachers, which has the most expalantory power among all variables. Unlike previous research, this study analyzed familiarity questions separately and not as a whole, and got different results.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es juvenile treatment should be more individualized and differentiated in order to effectively prevent juvenile delinquency.

목차
논문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사회유대이론
    2. 애착과 청소년비행
III. 연구방법
    1. 연구모형 및 연구대상
    2. 측정도구
IV. 연구결과 분석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애착과 비행의 상관관계 분석
    3. 애착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 분석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신소라(전주대학교) | Shin Sora (Jeonju Univ. of Police Sc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