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중소 플랫폼기업과 일반기업의 기업가지향성, 흡수역량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조직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KCI 등재

The Impact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Absorptive Capacity on Corporate Performance between Platform Companies and General Companies in SMEs: Moderating Role of Organizational Resilien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173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000원
기술혁신연구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기술경영경제학회 (The Korea Society for Innovation Management & Economics)
초록

본 연구는 ‘국가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소기업들의 경쟁우위 강화와 성과 창출을 위해 어떠한 무형자원이 중요할까? 특히, 시장 환경 변화가 크고, 위기·재난 상황일 경우에는 어떤 역량이 필요할까? 시장 환경 변화가 클 때, 중소기업 중 플랫폼기업과 일반 기업의 기업성과에 미치는 역량은 다를 수 있지 않을까?’라는 질문에서 시작되었다. 이를 위해 중소기업의 경쟁우위와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역량으로 기업가지향성, 흡수역량, 조직회복탄력성을 제시하였고, 특히, 최근 기업의 핵심역량으로 부상하고 있는 조직회복탄력 성이 기업성과에 어떠한 조절효과를 갖는지 실증하였다. 또한, 플랫폼기업과 일반기업을 비교하여 기업성과에 미치는 조직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으며, 조직회복탄력성의 어떤 하위요소에 따라 조절효과가 달라지는지 실증하였다. 연구 결과, 기업가지향성, 흡수 역량은 모두 기업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며, 조직회복탄력성도 기업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회복탄력성의 하위 구성요소인 위기준비 역량, 위기대응 역량, 변화주도 역량은 기업가지향성과 기업성과 간 관계를 유의하게 조절하고, 위기준비 역량과 변화주도 역량은 흡수역량과 기업성과 간 관계를 유의하게 조절하였다. 그리고, 기업가지향성과 기업성과 간 관계에서 위기준비 역량의 조절효과, 기업가지향성과 기업성과 간 관계에서 위기대응 역량의 조절효과는 플랫폼기업에서만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연구 결과는 조직회복탄력성이 기업성과에 직접 영향을 줄 뿐 아니라, 기업가지향성, 흡수 역량과 상호작용하여 기업성과를 더욱 높여줄 수 있으며, 플랫폼기업과 일반기업 간 조직회복 탄력성의 조절효과가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중소기업의 경영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comprises critical questions of “What kinds of intangible resources are significant to create and reinforce competitive advantages for the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SMEs) that significantly influence the national economy? What kinds of capacities do SMEs need in consideration with the large changes in market environment and during crisis? With large changes to market environment, would different capacities affect performance of platform and general SMEs?” To examine these questions, I have provided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bsorptive Capacity, and Organizational Resilience as key capacities that influence the competitive advantage and performance of SMEs. In particular, I have substantiated the control effect of Organizational Resilience (a rising key capacity for enterprises in recent times) on Corporate Performance. Moreover, I have analyzed the control effect of Organizational Resilience on Corporate Performance by comparing platform and general companies, and also substantiated how control effects may vary depending on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Resil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Absorptive Capacity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influence Corporate Performance. Organizational Resilience also demonstrate a positive influence on Corporate Performance. Notably,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Resilience (risk preparation capacity, risk response capacity, and change initiative capacity) significantly control correlation betwee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Corporate Performance. Risk preparation capacity and change initiative capacity significantly control correlation between Absorptive Capacity and Corporate Performance. Additionally, the control effect of risk preparation capacity significantly control correlation betwee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Corporate Performance. Also, the control effect of risk response capacity correlations betwee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Corporate Performance demonstrated themselves significantly only in platform enterprises. The study’s results indicate that Organizational Resilience not only directly influence Corporate Performance, but also strengthens Corporate Performance via mutual interaction with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Absorptive Capacity, although the control effect of Organizational Resilience may vary between platform enterprises and general enterprises. I expect such results to provide practical value to the management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목차
국문초록
Abstract
Ⅰ. 서 론
Ⅱ. 선행 연구
    2.1. 기업가지향성
    2.2. 흡수역량
    2.3. 조직회복탄력성
    2.4. 플랫폼기업
    2.5. 기업성과
Ⅲ. 연구 모형 및 가설 설정
Ⅳ. 연구방법
Ⅴ. 연구결과
    5.1. 표본의 특성
    5.2.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5.3. 주요 변수의 기술통계
    5.4. 주요 변수 간 상관관계
    5.5. 가설 검증 및 요약
VI. 결론 및 시사점
참 고 문 헌
저자
  • 이재형(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기술경영학협동과정 경영학박사) | Lee Jae-Hyung
  • 이정훈(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교수) | Lee Jung-Hoon Corresponding author
  • 남동균(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석사과정) | Nam Dongky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