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의사결정나무모형을 이용한 청소년의 학교만족도에 대한 예측요인 분석 KCI 등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218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9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서울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의 「서울교육종단연구(SELS)」에 서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고등학생 3학년인 9차(2018년) 자료에서 학 생 2,793명을 연구 대상자로 정하였다. 청소년의 학교만족도와 관련한 예측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SPSS 26.0을 사용하여 의사결정나무모형 분 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청소년의 학교만족도의 분 류에서 개인적인 요인으로는 성별, 자아개념, 자기평가, 사회적 관계 요 인으로 보호자, 학교교사, 학교 특성/문화 요인으로는 학교에 대한 평가, 학교풍토가 유의한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학교만족도 분류에 영향 을 주는 변인들 중에서는 학교에 대한 평가가 가장 영향력을 가진 변인 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교사 수치가 높은 집단에서는 학교풍토, 자아 개념이 분류의 중요한 의미 있는 변인이었고, 학교교사 수치가 낮은 집 단에서는 자기평가, 학교풍토, 학교에 대한 평가가 영향력 있는 변인이었 다. 넷째, 학교에 대한 평가 수준 및 학교풍토가 바람직하고 좋으면 학교 만족도가 긍정적으로 상승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청소 년의 학교만족도 증진을 위한 방안 모색, 교육정책 수립 및 프로그램 운 영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study, 2,793 students were selected as study subjects from the 9th (2018) data of the 3rd grade of high school students using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SELS)」 of the Seoul Education Research & Information Institute. In order to identify predictors related to school satisfaction of adolescents, a decision tree mode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6.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gender, self-concept, self-evaluation, guardian, school teacher, school evaluation, and school climate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variables in the classification of school satisfaction of adolescents. Second, among the variables that affect school satisfaction classification, school evaluation wa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Third, in the group with a high level of relationship with the school teacher, school climate and self-concept were important variables for classification. Self-evaluation, school climate, and evaluation of the school were influential variables in the group with a low level of relationship with school teachers. Fourth, school satisfaction increased positively when the school evaluation and school climate were desirable and goo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find ways to improve school satisfaction among adolescents, establish educational policies, and operate programs.

목차
Ⅰ. 서론
    1. 개인적인 요인과 학교만족도 간의 관계
    2. 사회적 관계 요인과 학교만족도 간의 관계
    3. 학교 특성/문화 요인과 학교만족도 간의 관계
Ⅱ. 연구방법 및 내용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2. 연구도구
    3. 자료 분석
Ⅲ. 연구결과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연구변인의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3. 의사결정나무모형 분석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저자
  • 이동욱(동양대학교) | Donguk Lee (Dongyang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