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46

        1.
        202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학업열의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 고, 교사관계가 매개 역할을 하는지를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통해 청소년의 삶 의 만족도를 증진하기 위한 교육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한 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KCYPS 2018)의 2023년 제6차 조사 자료 중 고등학교 3학년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전체 2,590명 중 결측치를 제외한 2,227명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료 분석에는 SPSS 25.0을 활용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매개효과는 Sobel 검정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학업열의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 도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열의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 서 교사관계가 매개 역할을 하며, 교사관계 수준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 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이 학업에 집중하면서도 행복한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교사와의 긍정적이고 지지적인 관계 형성을 돕는 프로그램 개발과 실천적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4,800원
        2.
        202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한부모 가정 자녀의 진로 탐색에 도움을 주는 가족 소통 코칭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다. 청소년 자녀들이 부모의 지지와 정확한 자 기 이해로부터 진로 탐색을 하도록 돕는 10회기의 집단 프로그램을 고안하였다. 부모가 원가족으로부터의 건강한 분화를 토대로 자녀를 개별화 존재로 인정 하도록 돕는 한부모 회기에 이어, 자기 이해를 바탕으로 진로 탐색의 기초를 다 지는 자녀 회기를 구성하였으며, 상호 이해의 건강한 소통을 기반으로 자녀의 진로 형성을 돕는 한부모-자녀 회기가 이어지도록 개발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은 긍정 심리학 기반 위에 가족치료의 자아 분화, GROW 코칭 모델, 그리고 비폭력대화법 등을 이론적 배경으로 두었다. 모든 회기는 한부모 가정이라는 환경적 어려움에 집중하기보다 현재의 자원을 긍정적으로 재해석해 성장과 발전을 꾀하도록 돕는 코칭적 접근과 질문들로 구성하였다. 이는 개인의 변화 촉진을 돕는 코칭 프로그램으로서 한부모와 자녀가 건강한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하도록 지원하는 연구로 유익할 것이며, 추후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으로 이어져 바람직한 한부모 지원 프로그램으로의 개발 및 확장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5,800원
        3.
        202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과 공격성 간의 유의미한 인과관계에 따른 중재의 효과 및 중요성에 대한 개별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5년부터 2024년까지의 KCI, RISS, e-article에 게재된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검색어는 “스마트폰 and 중독 or 공격성”을 사용하였으며, 총 1,986편의 논문이 검색되었다.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중재를 언급한 실험 논문 중 선정 기준에 적합한 논문 4편을 선정하였으며, 추가로 대한작업치료학회(KSOT)와 Science ON에서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중재를 언급한 논문 2편을 선정하여 최종적으로 6편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논문은 PICO (Patients,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 양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스마트폰 중독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중재 프로그램은 집단 모래놀이 치료, 집단 예술프로그램 치료, 인지행동 집 단치료, 표현예술치료, 문학치료, 해결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총 6편을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의 경우 통제집단에 비해 공격성·충동성·자기통제력 및 기타 우울, 불안 등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 내용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 청소년을 대상으로 중재 프로그램 적용 시 공격성·충동성·자기통제력 및 기타 우 울, 불안 등의 완화에 대한 효과가 확인되었으며, 스마트폰 중독과 공격성의 인과관계를 중심으로 한 중재 프로그램의 중 요성을 확립하였다. 이는 정신사회 작업치료 분야의 효과적인 중재 도구로써 활용될 수 있는 근거 자료로 사용되길 기대 한다.
        4,300원
        4.
        202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청소년소설이 ‘청소년의 목소리를 담고 있을까’라는 모색의 지점에서 청소년소설 장르 정체성에 적절한 문학의 역할에 주목하였다. 연구 목적 은 청소년소설에서 커뮤니케이션 유형과 청소년 성장 양상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장르 정체성을 정립하는 데 있다. 연구 방법은 청소년들의 말 하기 방식을 언어 수행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은 첫째, 청소 년의 목소리가 문제 해결을 하는 저항의 커뮤니케이션 유형에서 청소년 은 자기 결정권자로서 주체적 존재로 성장한다. 둘째, 청소년의 목소리를 듣지 못해 놓치는 커뮤니케이션 유형에서 청소년을 자살로 내몰 수밖에 없는 상실의 존재로서의 반성장 양상을 확인하였다. 셋째, 온라인 공간을 활용한 익명의 커뮤니케이션 유형에서 청소년이 문제를 표출하거나 소통 하며 자아 정체성 혼란을 극복하며 성장한다. 연구 결과는 청소년소설에 서 자아 정체성 혼란을 겪는 청소년 커뮤니케이션의 특징을 말하기 방식 으로 도출한 점에서 문학의 역할과 장르 정체성을 확보하였다. 나아가 청소년의 말하기 방식을 이해하고 소통 부재의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성 을 모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확장적 함의를 갖는다.
        8,100원
        5.
        202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탐색하 기 위해 의사결정나무모형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는 경 상북도 내 중학교 5개교에 재학 중인 1,716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행 되었으며, 부모양육태도, 교사와의 관계, 친구관계, 사회정서역량 등을 주 요 독립변인으로 설정하였다. 분석은 SPSS 28.0과 Stata 16.0을 활용하 여 이루어졌으며,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의사결정나무모형, 로지스틱 회 귀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의사결정나무모형에서는 사회정서역 량 중 자기인식(자기개념)이 삶의 만족도에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 었으며, 부모양육태도 중 따뜻함과 자율지지, 친구관계, 그리고 자기관리 (목표관리)와 (정서조절)도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로지스 틱 회귀분석에서는 부모양육태도(따뜻함(OR=1.700), 자율지지(OR=1.549)), 교사와의 관계(OR=1.508), 친구관계(OR=1.893), 사회정서역량 중 자기인 식(자기개념)(OR=1.646)과 자기관리(정서조절(OR=1.365), 목표관리(OR=1.279)) 가 삶의 만족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이 연구는 청소년들의 삶의 만 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가정과 학교에서 제공하는 사회적 지지 및 사회 정서역량 개발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를 위한 교육적·정책적 개입 방안 을 제시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지역과 연령대를 포함한 종단적 연 구를 통해 보다 일반화된 결과를 도출할 필요가 있다.
        8,100원
        6.
        202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differences in breakfast habits, mental health, and the prevalence of allergic diseases among 9,549 adolescents from father-headed and mother-headed families, using raw data from the 2017~2019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Of the total participants, 44.6% came from father-headed families, while 55.4% were from mother-headed families. Single-parent adolescents showed the highest likelihood of eating breakfast every day of the week (24.5%), but they also had a significant tendency to skip breakfast entirely (24.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reakfast frequency between those from father-headed and mother-headed families. The perception of stress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adolescents from the two types of families, although subjective health status did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boys. Depressive experiences were notably higher in adolescents from mother-headed families (33.0%) compared to those from father-headed families (30.8%). Additionally, the prevalence of atopic dermatitis and allergic rhinitis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adolescents from mother-headed families (24.2% and 32.1%, respectively) than in those from father-headed families (21.1% and 26.5%,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e need for tailored nutrition and health guidance programs for adolescents from single-parent families to support the role of the absent parent.
        4,000원
        7.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실패두려움과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에서 경쟁상태불안과 자기효능감의 이중 매개효과를 분석하고 각 변인 간의 인과관계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경기도 소재 중학생 축 구선수 326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8.0과 Amos 28.0 프로그 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모델분석과 매개효과를 검증하였고 매개변인의 간접효과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 해서 부트스트래핑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실패두려움이 경쟁상태불안과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효능감이 인지된 경기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셋째, 실패두려움과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완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청소년 축구선수의 실패두려움이 경쟁상태불안과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변인임을 확인하였으며, 자기효능감이 인지된 경기력을 위한 중요 매개변수임을 확인하였다. 청소년 선수들이 안정적인 심리상태로 선수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실패두려움의 강도를 낮추고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 것은 중요하며, 지도자들 의 독려와 새로운 방향의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4,800원
        8.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청소년의 외로움이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과의존 관계에 대한 범불안의 매개효과를 조절하는지 검증하고자 실시되었다. 2020년에 실시된 제16차 청소년건강행태조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중・ 고등학생 54,948명의 자료를 SPSS 24.0과 Process Macro 4.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청소년 의 범불안은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과의존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그리고 청소년의 외로움은 스트레스와 스 마트폰 과의존의 관계에 대한 범불안의 매개효과를 조절하였다. 즉, 외로움이 높을수록 스트레스로 인한 범불안이 강화되어 스마트폰 과의존이 높아진다. 그러므로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을 개선하기 위해 스 트레스, 범불안뿐만 아니라 외로움을 완화해 줄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시행할 것을 제언한다.
        4,200원
        9.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door air quality is a critical factor affecting health and quality of life, especially in spaces frequently used by sensitive populations such as adolescents. This study assessed the impact of garden ball installations and electrochemical fertilizer applications on indoor air quality in two youth centers, Center S and Center W, located in Bucheon, South Korea. PM2.5, PM10, and CO2 concentrations were monitored and analyzed based on the presence of garden balls and the use of electrochemical fertilizers. The results showed that spaces with garden balls (w/ G.B.) had significantly lower PM2.5 and PM10 concentrations compared to offices and spaces without garden balls (w/o G.B.). In Center W, the presence of garden balls alone improved air quality, highlighting the potential of vertical greening as a sustainable solution. In Center S, the application of electrochemical fertilizers during the “after + period” (when both garden balls and electrochemical fertilizers were applied) further enhanced particulate matter reduction, demonstrating the fertilizers’ ability to amplify plants’ air-purifying effects.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that garden balls are an eco-friendly option for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Combining electrochemical fertilizers with garden balls shows promise for enhancing air quality, offering a practical model for multi-use facilities such as youth centers.
        4,000원
        10.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청소년기의 자녀들이 부모와의 의사소통에서 경험하는 주관 적 인식을 탐구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주관성을 연구하 는 Q 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청소년 자녀 4명과 부모 6명을 심층 면접하 여 총 170개의 Q 모집단을 구성하고, 이 중 94개의 Q표본을 선정하였 다. 이후 청소년 자녀 25명과 부모 25명, 총 50명의 P표본을 대상으로 Q 분류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PQ Method 프로그램을 활용하 여 진행되었으며, 최종적으로 39명의 P 표본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3요인 구조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총 설명력은 40% 로 확인되었다. 요인 1은 자기 주관 없이 부모의 생각에 순응하는 유형 으로 '순응형 아바타'로 명명하였다. 요인 2는 부모와 자신의 경계를 인 식하고 자기 주도적인 생활을 원하는 유형으로, '주도적 협상가'로 명명 하였다. 마지막으로 요인 3은 상황에 유연하게 실리를 챙기고 독립을 유 보하는 특성을 보이므로 '실리적 캥거루'로 명명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 를 바탕으로 부모와 자녀 간 의사소통에 대한 실천적 함의를 제안하였 다.
        6,000원
        11.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다 사용에 대한 우려가 증가함에 따라, 스마트폰 의존과 과다 사용이 정신 건강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 의존과 자살 시도 간의 관계에 대한 직접적인 실증 연구 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공백을 메우기 위해,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 외로움, 그리고 자살 시도 간의 관계를 검토하고자 한다. 2023년 질병관리청의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800개 중⋅고등학교의 52,880 명의 학생을 분석한 결과, 스마트폰 의존도가 높은 청소년들은 지난 1년간 외로움과 자살 시도를 보고할 가능성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로움은 스마트폰 의존과 자살 시도 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밝혀져, 스마트폰의 과다 사용이 사회적 고립을 촉진하여 자살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아울러, 일상 스트레스는 중요한 조절 변수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의존, 외로움, 자살 위험 간의 연관성은 높은 스트레스 수준을 가진 청소년에게서 더욱 강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외로움과 스트레스와 같은 심 리사회적 요인이 스마트폰 사용과 정신 건강 위험 간의 연관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부각시킨다. 본 연구 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다 의존을 방지하고, 사회적 관계 강화를 중시할 필요성을 제안하며, 특히 스트레스 수준이 높은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에 대해 더욱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함을 강조한다.
        4,000원
        12.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 지원 사업 중 후기청소년까지 수혜 대상을 포괄한 다톡다톡 프로젝트를 다차원 정책분석모델을 통해 분석하였다. 다톡다톡 프로젝트는 이주배경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여 사회적응과 정서 적 안정을 돕기 위해 2013년부터 2020년까지 운영된 민간 주도의 상담 및 심리치유 프로그램으로, 후기 청소년까지 포괄하여 다양한 연령대의 다문화 청소년에게 지원을 제공한 국내 유일의 사례이다. 본 연구는 규 범적, 구조적, 구성적, 기술적 차원의 네 가지 분석틀을 통해 다톡다톡 프로젝트의 정책적 가치와 목표, 제도적 구조와 집행 과정, 주요 이해관 계자 간의 상호작용, 그리고 실행 결과와 성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였다. 규범적 차원에서는 프로젝트의 지향점과 다문화 청소년의 안정적 사회정 착을 위한 가치가 강조되었으며, 구조적 차원에서는 민간과 공공의 협력 을 통한 정책 추진 체계와 그 과정에서 나타난 한계가 분석되었다. 구성 적 차원에서는 청소년과 지역사회, 정부 기관 간의 상호작용이 프로젝트 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 확인되었고, 기술적 차원에서는 심리적 지원과 직업훈련 등의 실질적 성과가 다톡다톡 프로그램의 효과를 뒷받침했다. 연구 결과는 다톡다톡 프로젝트가 다문화 청소년, 특히 후기 청소년을 위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지원이 이루어질 필요성을 시사한다.
        8,700원
        13.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업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양육태도, 교사와의 관계, 친구관계, 사회정서역량 간의 구조적 관계를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 로 한다. 경상북도교육청연구원에서 수행한 「학생의 사회적 지지, 사회정 서역량 및 학업열의 수준 파악과 구조적 영향관계」 조사를 바탕으로, 경 북 지역 중학생 1,716명을 대상으로 SPSS 28.0, Stata 16.0, SAS, Smart-PLS 3.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 식 모델을 통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부모양육태도는 사회정서 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학업열의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교사와의 관계는 사회정서역량과 학업열의 모두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었다. 셋째, 친구관계 역시 사회정서역량과 학업열의에 긍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정서역량은 학업열의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부모양육태도, 교사와의 관계, 친구관계가 학 업열의에 미치는 영향에서 중요한 매개효과를 보였다. 다섯째, 통제변인 인 성별과 학년을 분석한 결과, 여학생의 학업열의는 남학생보다 낮은 경 향이 있었고, 학년이 높아질수록 사회정서역량이 감소하는 경향이 확인되 었다. 따라서, 청소년의 학업열의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부모와 교사의 지지, 긍정적인 친구관계, 그리고 사회정서역량의 증진이 필수적이다. 또 한, 사회정서역량을 강화하는 프로그램 개발과 교육적 접근이 요구되며, 이는 청소년들의 학업에 대한 열의를 고취시키고 학업 성취를 증진하는 데 중요한 전략적 요소가 될 수 있다.
        9,300원
        14.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중국 안과병원에 방문한 저도와 중등도 근시 청소년을 연구 대상으로 각막굴절교정 렌즈에 의한 단기간의 근시 진행 억제 효과가 있는지 관찰하고자 하였다. 방법 : J안과에 방문한 근시환자 중 40명의 환자 저도 근시군 20명(40안), 중등도 근시군 20명(40안)을 대상으 로 각막굴절교정 렌즈를 처방하고 6개월 동안 추적 관찰하였다. 각막굴절교정 렌즈 착용 후 1개월, 3개월, 6개월 후 각각 각막굴절교정 렌즈 교정 후 시력과 안축의 길이, 각막곡률, 안압, 각막 중앙 두께 등을 검사하여 분석 및 비교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27.0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였다. 결과 : 저도근시군과 중등도근시군의 교정시력이 모두 향상되었으며, 두 군 간의 차이는 통계학적 으로 유의하 였으며, 안축 길이는 중등도근시군의 안축 성장이 작았고, 두 군 간의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각막 곡률 은 중등도 근시 군의 각막 곡률이 더 많이 감소했으며, 두 군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각막굴절교정 렌 즈를 착용한 환자는 안압과 각막 중앙 두께 측면에서 기준치와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결론 : 각막굴절교정 렌즈는 청소년의 근시를 효과적으로 교정되었으며, 근시 진행을 억제하는 방법 중 하나로 근시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또한 청소년들의 근시 통제 효과는 중등도 근시 환자가 저도 근시 환자보다 더 효과적이었다.
        4,000원
        15.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학교폭력을 경험한 청소년이 학교폭력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를 밝히기 위해 학교폭력을 경험한 청소년 6명을 대상으로 2019년 6월부터 2023년 7월까지 심층인터뷰 방법을 통하여 자료수집을 했다. 이 자료를 바탕으로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했다. 분석결과 청소년의 학교폭력 경험은 4개의 상위범 주인 ‘구별짓기를 강요하는 학교’, ‘폭력의 트라이앵글’, ‘돌림노래 같은 가해자와 피해자’, ‘공동체 내에서 존중 획득하기’로 나타났다. 또한 각 상위범주에 따라 10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이런 연구결과를 바 탕으로 청소년의 학교폭력에 대한 함의 및 제언을 제안했다.
        8,900원
        16.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이주배경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사회적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문화적 응 스트레스가 사회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에서 문화여가활동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분석 자료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다문화청소년패널(MAPS: Multi-cultural Adolescent Panel Study)’ 2기 제1차(2019년) 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은 이주배경 청소년 총 1,834명 이다. 이에 따른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이주배경 청소년의 사회적 역량 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문화여가활동은 이주배경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와 사회적 역량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문화여가활동은 문화적 스트레스가 사회적 역량에 주는 부정적 영향을 완충시켜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주배경 청 소년의 문화적 스트레스 감소시키고 사회적 역량을 향상시키는 문화여가활동을 활성화하는 정책적, 실천적 방안을 제안하였다.
        6,700원
        17.
        202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청소년 자살 위험군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상담 프로그램이 우울증 증상 완화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살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 다. 중·고등학생 60명을 대상으로 맞춤형 상담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 프로그램을 받은 실험집단은 우울증 수준과 자살 생각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다. 또 한, 효과는 성별과 학년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며, 프로그램 종료 후 3개월 뒤에도 우울증 수 준이 낮게 유지되어 장기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맞춤형 상담 프로그 램이 청소년 우울증 완화와 자살 예방에 중요한 개입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6,600원
        18.
        202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qualitative study explained the experiences of male adolescents who perpetrated school violence and understand which changes occur over time.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2014 to May 2015 from 21 male adolescents who had perpetrated school violence and faced punishments, including forced transfers or special education.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s were conducted, with each interview lasting 45-100 minutes over 1-4 sessions. All interviews were audio-recorded and transcribed, taking 3-5 hours per session, with the transcripts reviewed for accuracy. Furthermore, member checks were conducted with the two participants for feedback. Meanwhile, data analysis followed Grounded Theory using open, axial, and selective coding while adhering to COREQ guidelines to ensure transparency and reflexivity. Results: A total of 87 concepts, 34 sub-categories, and 17 categories were derived. The core category was identified as “breaking out of the emotional pain.”The basic psycho-social processes experienced by the male adolescents who had perpetrated school violence appeared in four phases; "eruption", "habituation", "separation," and "reflection." The central phenomenon was “explosion of repressed emotional pai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novel insights into preventing school violence by providing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experiences of male adolescents who perpetrated acts of school violence. Crucially, it suggests that both assailants and victims of school violence should be looked after by their families, schools, and communities.
        5,100원
        19.
        202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정신건강 관리에 필요한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한국교육종단연구의 8차 조사 데이터의 고등학교 3학년 학생 5,817명 을 대상으로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 자아개념, 정신건강 간 관계를 분 석하였다. 연구문제 해결을 위해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통계분석은 SPSS와 AMOS 25.0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청소 년의 교우관계 (β =.49, p <.05), 부모지원 (β =.251, p <.05), 교사와의 관 계 (β =.194, p <.05) 순으로 자아개념에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나, 청소년기의 발달과업인 또래 관계 형성의 중요성을 나타내주 었다. 둘째, 청소년의 긍정적인 자아개념은 정신건강에 정적영향 (β =.677, p <.05)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와의 관계(β =.034, p <.05)를 제외한 부모지원 (β = -.02, p >.05)과 교우관계 (β = -.02, p >.05)는 정신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러나, 자아개념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3개 변인 모 두 정신건강에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 는 청소년의 정신건강을 위해 긍정적 자아개념 형성이 중요하며, 긍정적 자아개념 형성을 위해서는 친구, 부모, 교사와의 긍정적 관계 맺기를 위 한 지원과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6,700원
        20.
        202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청소년기의 진로 성숙은 자기 성장의 한 부분이고 자신의 미래를 준비 하는 중요한 과정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연예술 관 람 교육이 청소년의 진로 성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 개선되 어야 할 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연구참여자의 경험을 알 아보기 위해 질적연구 방법론을 활용하였으며, 공연예술 관람 교육을 받 은 청소년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해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참여 자는 공연예술 관람 교육을 3회 이상 경험하고, 자신의 경험을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청소년 6명을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공연예술 관람 교 육은 청소년들에게 ‘정서적 순화’, ‘간접 체험’, ‘문화적 경험’, ‘자기주도 학습’의 효과를 나타냈다. 학습자들은 ‘정서적 순화’ 효과를 통해 진로성 숙도 요소에서 개인 특성의 이해를 나타내는 ‘자기 이해’, 그리고 ‘합법 적 의사결정’이 개선되었으며, ‘사회통합 기능’과 ‘문화적 경험’을 통해 ‘직업에 대한 태도’와 ‘진로 낙관성’의 향상을 경험했다. ‘자기주도학습’ 은 ‘계획성’, ‘독립성’, ‘정보탐색’, ‘희망 직업 지식’, ‘진로 탐색 행동 준 비’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6,4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