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loring the structural influence relationship on adolescents’ academic enthusiasm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emotional competency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업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양육태도, 교사와의 관계, 친구관계, 사회정서역량 간의 구조적 관계를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 로 한다. 경상북도교육청연구원에서 수행한 「학생의 사회적 지지, 사회정 서역량 및 학업열의 수준 파악과 구조적 영향관계」 조사를 바탕으로, 경 북 지역 중학생 1,716명을 대상으로 SPSS 28.0, Stata 16.0, SAS, Smart-PLS 3.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 식 모델을 통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부모양육태도는 사회정서 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학업열의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교사와의 관계는 사회정서역량과 학업열의 모두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었다. 셋째, 친구관계 역시 사회정서역량과 학업열의에 긍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정서역량은 학업열의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부모양육태도, 교사와의 관계, 친구관계가 학 업열의에 미치는 영향에서 중요한 매개효과를 보였다. 다섯째, 통제변인 인 성별과 학년을 분석한 결과, 여학생의 학업열의는 남학생보다 낮은 경 향이 있었고, 학년이 높아질수록 사회정서역량이 감소하는 경향이 확인되 었다. 따라서, 청소년의 학업열의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부모와 교사의 지지, 긍정적인 친구관계, 그리고 사회정서역량의 증진이 필수적이다. 또 한, 사회정서역량을 강화하는 프로그램 개발과 교육적 접근이 요구되며, 이는 청소년들의 학업에 대한 열의를 고취시키고 학업 성취를 증진하는 데 중요한 전략적 요소가 될 수 있다.
This study explor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arenting attitudes, relationships with teachers, relationships with friends, and social-emotional competence influencing adolescents’ academic enthusiasm. Based on a survey conducted by the Gyeongsangbuk-do Office of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with 1,716 middle school students, the findings revealed that parenting attitudes positively impacted social-emotional competence but did not directly influence academic enthusiasm.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nd friends positively affected both social-emotional competence and academic enthusiasm, while social-emotional competence demonstrate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academic enthusiasm. This study elucidated the roles of parenting attitudes, relationships with teachers, relationships with friends, and social-emotional competence in shaping adolescents’ academic enthusiasm and highlighted the necessity of educational approaches and program development to foster academic enthusia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