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2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국외입양동포 한국어 교육에 관한 현황 및 문제점을 살펴보 고 국외입양동포에 대한 한국어 교육 실시의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선행 문헌 분석과 함께 관련 기관 및 단체에 대한 서면 질의 및 정보 공개 청구와 같은 조사 활동을 병행 하였다. 국외입양동포에 대한 한국어 교육은 단순히 한국어로의 의사소 통 능력을 키우는데 그치지 않고, 자아정체성의 정립에 도움을 줌으로써 자아존중감 및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국외입양동포 에 대한 한국어 교육이 중요한 의미를 갖지만 실제로 한국어 교육 실시 사례가 그리 많지 않으며 학계에서의 논의도 미미한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국외입양동포를 대상으로 하여 국내외에서 실시되고 있는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을 살펴보고 쟁점을 도출한 후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5,700원
        2.
        201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view focuses on the hydrological definition and functions of hyporheic zone which has a feature of interaction between surface water and groundwater in natural stream system. This work also investigated how to measure the amount of flow exchange around this zone. As hyporheic zone shows heterogeneous feature due to groundwater level, river bed thickness, and hydraulic conductivity, spatio-temporal variation of interactions between surface-groundwater hydrologic exchange is to be analyzed. The methods to quantify this flow exchange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field scale and status, the proper method should be adopted. Especially, Krause et al. (2007), showed that the flow exchange plays an important role in water balance in watershed and can be quantified by using integrated watershed hydrologic modeling.
        4,200원
        3.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한중 동형 한자어의 공기 관계 비교를 통해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어 휘 습득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중국어 상용 어휘가 중국인의 인지 표현의 기초가 되므로 본고에서는 중국어 상용 어휘를 기준으로 한국어 동형 한자어를 수집하였으며, 먼저 사전적 의미를 기준으로 ‘동형동의, 동형유의, 동형이의’로 나누고, 다시 결합 어휘와 결합 구조가 일치하는지에 따라 분류하여 유형을 제시하였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한자어의 형태와 의미에 주로 의존하여 비교를 한 반면, 본 고에서는 한자어가 주로 결합하는 어휘와 결합 관계를 비교하여 한국어 학습에 더욱 실질적이고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6,900원
        5.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무심천 유역을 대상으로 지표수-지하수 통합해석 모형인 SWAT-MODFLOW를 이용하여 수량이 부족한 하천으로 지하수를 이용한 물공급 방안을 모색하였다. 2011년부터 2015년까지 다양한 모의실험을 수행한 결과 극한가뭄이 도래했던 2015년에 지하수 공급에 의한 월 유출량의 변화는 현 양수시 23%, 최대 양수시에는 68.3%의 증가를 나타냈다. 이를 연간 지하수 함양량으로 산정할 경우 현 이용량을 적용하면 연평균 강수량의 6.2%인 75 mm, 최대 이용량 적용시 연평균 강수량의 24%인 290 mm에 해당하여 연간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 났다. 본 연구는 가뭄에 취약한 지표수자원과 달리 지하수는 하천수 부족시 물공급의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