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학업열의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 고, 교사관계가 매개 역할을 하는지를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통해 청소년의 삶 의 만족도를 증진하기 위한 교육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한 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KCYPS 2018)의 2023년 제6차 조사 자료 중 고등학교 3학년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전체 2,590명 중 결측치를 제외한 2,227명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료 분석에는 SPSS 25.0을 활용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매개효과는 Sobel 검정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학업열의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 도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열의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 서 교사관계가 매개 역할을 하며, 교사관계 수준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 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이 학업에 집중하면서도 행복한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교사와의 긍정적이고 지지적인 관계 형성을 돕는 프로그램 개발과 실천적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adolescents' academic enthusiasm on life satisfaction and to investigate whether teacher relations play a mediating role. Through this, it is intended to provide basic educational data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adolescents.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data for the third year of high school among the 6th survey data of 2023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2018), and 2,227 people, excluding missing values, were selected as the final analysis targets.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5.0 for data analysis, and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through Sobel test.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academic enthusiasm of adolescents, the higher the life satisfaction.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enthusiasm and life satisfaction, the teacher relationship plays a mediating role, and the higher the level of teacher relationship, the higher the life satisfaction.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programs and preparing practical measures to help adolescents build positive and supportive relationships with teachers so that they can live a happy life while focusing on their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