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다이빙 심판의 경험에 따른 판정 정확성의 차이 KCI 등재

The Difference in Judging Accuracy Based on Diving Referees’ Experien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220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체화된 인지 이론을 바탕으로 다이빙 심판의 과거경험에 따른 판정 정확성 차이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48명의 다이빙 심판을 대상으로 다이빙 경기의 기술 동작에 대한 온라인 평가를 실시하였다. 온라인 평가지는 심판의 선수경험, 기술동작경험, 심판경험, 시각경험에 대한 질문과 함께, 16가지의 다이빙 동작 의 기술 점수 평가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각 기술 동작에 대해 다이빙 규정에 따라 0점에서 10 점까지의 점수로 평가하였다. 평가된 점수는 FINA 국제경기에서의 판정 점수와 비교하여 판정의 정확성(판정의 절대오차)과 판정의 경향성(판정의 항상오차)을 계산하였으며 t-검정, ANOVA,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심판의 과거 경험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았다. 결과: 첫째, 심판 급수에 따라 판정의 절대 오차에 통계적인 차이가 나타 나, 1급 심판이 3급 심판보다 판정의 절대 오차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3급 심판은 판정 오차 값이 양(+) 의 값의 경향을 보였다. 둘째, 과거 선수 경험에 따라 판정 오차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선수 경험이 있는 심 판이 경험이 없는 심판보다 판정의 절대 오차가 작은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제시된 기술 동작에 대한 과거 수 행 경험이 있는 심판이 경험이 없는 심판보다 판정의 절대 오차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동작 경험이 없는 심판은 양의 값의 오차 경향을 보였다. 넷째, 최근 1년 동안 실제 경기의 판정 경험이 있는 심판이 그렇지 않은 심판보다 판정의 절대 오차가 작았으며, 경험이 없는 심판은 양의 값의 오차 경향을 보였다. 다섯째, 심판 급수의 영향력을 통제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판정의 절대 오차에 대한 시각 경험의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심판 연구에서 크게 주목하지 않았던 체화된 인지 이론을 바탕으로 심판 의 선수경험, 기술동작경험, 심판경험 등의 과거 경험에 따라 판정의 정확성과 경향성이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 다. 특히 판정해야 하는 기술 동작의 경험 유무가 심판의 정확한 판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 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judgment accuracy according to the past experience of diving referees based on embodied cognitive theory. Methods: We conducted online evaluation of the technical movements of the diving competition to 48 diving referees. Questions about the referees’ experiences as an athlete, performance, referee, and visual experience, as well as videos of diving technology movements were presented on the online evaluation paper. The referees’ scores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and hierarchical regression based on their past experience.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judgment error according to the level of judges. It was found that the judgment errors of the first-level referees was fewer than that of the third-level referee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judgment errors depending on the referees’ past experience as an athlete confirming that referees who had prior athletic experience made fewer judgment errors compared to referees with no prior experience. Third, referees who had prior experience in performing technical movements presented in online evaluations had fewer judgment errors and tended to give negative scores compared to referees with no prior experience. Fourth, there has been a difference in judgment errors depending on whether the referees have actually gained experience in refereeing over the past year. Fift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judgment errors according to the referees’ visual experience. However, after conduct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control for the influence of the referees’ level,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judgment errors depending on referees’ past experience as an athlete, experience of performance, experience of referee, etc. In particular, it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confirmed the possibility that the past experience of the actual performance can affect the referees’ accurate judgment.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follow-up study will be needed to confirm how participation in physical training or imagery training for various technical movements affects referees judgment errors.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 참여자
    2. 실험 도구
    3. 연구절차
    4. 자료 분석
Ⅲ. 연구 결과
    1. 심판급수에 따른 판정 정확성
    2. 선수경험에 따른 판정 정확성
    3. 동작경험에 따른 판정 정확성
    4. 심판경험에 따른 판정 정확성
    5. 시각경험에 따른 판정 정확성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저자
  • 박성아(이화여자대학교 박사과정) | Seong A Park (Ewha Womans University)
  • 박승하(이화여자대학교 교수) | Seungha Park (Ewha Womans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김연진(서강대학교 연구원) | Yeonjin Kim (Sogang University)
  • 민상운(이화여자대학교 박사과정) | Xiangyun Min (Ewha Womans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