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Investigation of Aging Awareness and Eye Health Care of Early Presbyopia KCI 등재

초기 노안의 노화인식과 눈 건강관리 인식 조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251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적 : 초기 노안에서 노화인식과 눈 건강관리의 인식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초기 노안을 겪는 40대 이상의 중년 성인 17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이용하여 노화 인식에 대한 설문 6문항과 눈 건강관리 인식에 대한 설문 11문항에 대해 ‘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매우 그렇다’까지 5점 척도로 응답하게 하였다. 독립표본 t-검정과 ANOVA 분석으로 노화 인식 정도와 눈 건강관리 인식의 연령대(40 대 초반, 중반, 후반)와 성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시행하여 노화인식과 눈 건강관리 인식의 상관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대상자들의 평균나이는 43.92±2.42세로 남자는 95명(55.6%), 여자는 96명(44.4%)이었다. 연령대에 따라 노화 인식 정도와 눈 건강관리 인식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노화인식의 경우 한 가지 문항(문항 4번)에서 남자 (3.40±0.97)가 여자(3.87±0.93)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노화인식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눈 건강관리 인식은 세 가지 문항(문항 1, 6, 7번)에서 여자가 남자에 비해 높은 건강관리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각각 여: 4.05±0.67, 남: 3.52±0.81, 여: 3.83±0.77, 남: 3.51±0.99, 여: 4.01±0.70, 남: 3.77±0.83). 노화인식도 가 높을수록 눈 건강관리 인식정도가 유의하게 높았다(r=0.161, p=0.035).
결론 : 성별에 따라 노화인식과 눈 건강관리 인식은 차이를 보였고, 노화 인식도가 높을수록 눈 건강관리 인식 정도가 높았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levels of aging perception and eye health care in individuals with presbyopia.
Methods : An online survey was used targeting 171 middle-aged adults in their 40’s or older suffering from early presbyopia, and the 6 questions on aging awareness and 11 questions on eye health care awareness ranged from 'not at all' to 'very much'. Responses were made on a 5-point scale. Independent t-tests and ANOVA analysis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aging perception and eye health care awareness based on age groups (early, mid, and late 40‘s) and gender.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aging perception and eye health care awareness.
Results :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as 43.92±2.42 years, and 95 were male (55.6%) and 96 were female (44.4%).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degree of aging awareness and eye health care awareness according to age group. In aging perception, it was found that males (3.40±0.97) showed significantly higher aging awareness than females (3.87±0.93) in one question (question no. 4). In eye health care awareness, it was found that women had higher health care awareness than men in three questions (questions 1, 6, and 7) (female: 4.05±0.67, male: 3.52±0.81, female: 3.83±0.77, male: 3.51±0.99, female: 4.01±0.70, male: 3.77±0.83). The higher the aging awareness, the higher the eye health care awareness(r=0.161, p=0.035).
Conclusion : There were differences in aging awareness and eye health care awareness based on gender, and higher levels of aging perception were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eye health care awareness.

목차
Abstract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Ⅲ. 결 과
Ⅳ. 고찰 및 결론
References
Appendix
요 약
저자
  • Ka-Ul Choi(Dept. of Optometry, Baekseok Culture University, Professor, Cheonan) | 최가을 (백석문화대학교 안경광학과, 교수, 천안)
  • Myoung-hee Lee(Dept. of Optometry, Baekseok Culture University, Professor, Cheonan) | 이명희 (백석문화대학교 안경광학과, 교수, 천안)
  • Youngju An(Dept. of Optometry, Baekseok Culture University, Professor, Cheonan) | 안영주 (백석문화대학교 안경광학과, 교수, 천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