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조맹부의 사실적 회화세계와 문인화의 혁신 KCI 등재

Artistic Revolution of Zhao Mengfu: Exploring Realism and Innovations in Literati Paint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252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800원
미술이론과 현장 (The Journal of Art Theory & Practice)
한국미술이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rt Theories)
초록

원대 문인서화가로 유명한 조맹부는 부친 조여은의 취향과 감식안의 영향 하에서 초기 부터 사생과 같은 사실적 기법을 깊이 탐구하였다. 중기에는 희작과 같은 북송수묵화 양식들 을 폭넓게 수용한 뒤, 이를 자신만의 방법으로 변용하고 결합시킴으로써, 사생과 묵희의 개 념을 새롭게 확장시켰다. 장난삼아 사생한다는 뜻의 ‘희위사생’론은 ‘공필사생’과 ‘묵필희작’ 이라는 이질적 기법의 집성을 통해 ‘기운’ 혹은 ‘정성(情性)’을 얻는다는 혁신론이었다. 이는 〈이양도〉를 비롯한 일련의 작품들에서 보이는 고도로 복합적이고 균형잡힌 조형세계의 또 다른 층위를 해석하는 열쇠를 제공한다. 이렇듯 사실적인 회화세계의 토양 속에서 조맹부는 ‘전신의 묘’를 다하지 못한 당시 사부화가들에 대한 비판의식을 발전시켜 나갔다. 본고는 문 인화에 사실적 화법을 접목시키려는 조맹부의 탐구와 혁신적 방법론에 포커스를 맞춤으로써 원대 회화 및 그 향방을 좌우한 그에 대한 기존의 이해를 새롭게 확장시켜준다.

Guided by his father’s refined tastes and connoisseurship, Zhao Mengfu’s early artistic pursuits were marked by a realistic approach and a technique of drawing from nature. During the middle period of his career, he embarked on a transformative journey by assimilating various Northern Song ink painting styles, notably playing with ink, and subsequently infusing them with his distinctive creative vision. Central to his innovation was the concept of Xiwei Xiesheng, which sought to achieve a high level of spiritual resonance or inner character through the integration of such techniques as fine drawing from nature (Xiesheng) and brush stroke for fun (Xizuo). These conceptual keywords serve as valuable tools for interpreting the multilayered and intricately balanced artistic world found in his works, such as Sheep and Goat. Within the realm of these realistic paintings, Zhao Mengfu developed a critical perspective prevailing over the shortcomings of his contemporary scholar-gentlemen painters who failed to capture the essence of the natural world. This study enhances our comprehension of Zhao Mengfu’s artistic contributions, emphasizing his exploration and innovative approaches to realistic experiments in literati painting.

목차
Abstract
Ⅰ. 서론: 조맹부의 ‘희위사생’론 재검토
Ⅱ. 전통적 ‘사생・사진’론의 탐구와 그 배경
    1. 분채사생
    2. 쌍구사생
    3. 경용사진
    4. 진채사진
    5. 국파조대제 소장품과 사생
Ⅲ. 북송 ‘희작’론의 수용과 사생의 확장변용
    1. 묵필희작의 수용
    2. 담채사생 : 공필사생과 담채희작의 혼용
    3. 수묵사생: 몰골사생의 서예적 변용
Ⅳ. 두 개의 전선: 형사의 초극과 문인화의 혁신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
  • 김울림(국립춘천박물관/관장) | Kim, Woollim (Chuncheon National Museum/Dire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