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노예무역폐지 내러티브의 회화적 증언: 조제프 말로드 윌리엄 터너의 <노예선> 연구 KCI 등재

A Pictorial Testimony of the Abolition of the Slave Trade Narrative: A Study on Joseph Mallord William Turner’s Slave Ship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252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100원
미술이론과 현장 (The Journal of Art Theory & Practice)
한국미술이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rt Theories)
초록

조제프 말로드 윌리엄 터너의 <노예선>은 인간 경험의 극적이고 감정적인 측면을 포착 하는 사례다. 1840년에 완성된 이 작품은 격렬한 폭풍 속에서 노예가 된 아프리카인들이 배 에서 밖으로 던져지는 비인간적인 장면을 묘사한다. 또한 이 작품은 대서양 횡단 노예무역의 잔인성과 경제적 이익을 위한 인간 착취의 윤리적 의미에 대한 회화적 증언이다. 그러나 노 예무역의 열악한 환경은 종 호 사건은 물론 노예무역을 둘러싼 복잡한 법적 문제를 발생시 켰다. 본 연구는 <노예선>이 ‘노예제 폐지’나 ‘노예무역폐지’와 같은 사안들과 결합하는 과정 에서 파생되는 메시지를 어떻게 시각적으로 형상화시키고 있는지를 사회사적 관점에서 분석 한다. 이를 통해 노예제도에 함축된 정치경제적 맥락과 작가의 조형 의식 형성 간의 관계성 을 조명하여 터너의 작품 세계에 대한 기존의 인식론적 지형도를 확장시키는데 집중한다.

Joseph Mallord William Turner’s Slave Ship is an example of capturing the dramatic and emotional side of the human experience. Completed in 1840, it depicts an inhuman scene in which enslaved Africans are thrown from a vessel during a violent storm. Also, this work is a pictorial testimony to the cruelty of the transatlantic slave trade and the ethical meaning of human exploitation for economic gain. However, the harsh environment of the slave trade caused complex legal issues surrounding the slave trade as well as the Zong case. This study analyzes how Slave Ship visually embodies messages derived from the process of combining with issues such as ‘abolition of slavery’ and ‘abolition of the slave trade’ in the social historical perspective. Through this, it focuses on expanding the existing epistemological topography of Turner’s art world by illumin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litical and economic context implied in slavery and the formation of his formative consciousnes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터너와 <노예선>
Ⅲ. 종 호 사건의 배경 그리고 노예무역폐지 운동
Ⅳ. 터너의 <노예선> 분석: 숨겨진 진실의 재조명
    1. 미학적 측면
    2. 역사적 측면
    3. 주제적 측면
Ⅳ. 결론
참고문헌
저자
  • 김연재(한국예술종합학교/객원교수) | Kim, Yonjai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Guest Profess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