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길경의 면역조절 기능성에 관한 연구 KCI 등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26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식품영양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한국식품영양학회 (The Korean Society of Food and Nutrition)
초록

길경에 대한 면역조절 기능과 항알레르기 물질을 탐색하기 위해서 우선 열수 추출물, 에탄올 추출물 및 다당류 분획물을 추출 회수해서 몇가지 관련된 실험을 수행하였다. 면역 감수성이 우수한 BALB/C 마우스를 통해서 적혈구 응집과 용혈반응, 항체 생성능을 확인하기 위해서 PFC와 RFC 실험, 마크로파아지와 임파구 세포들의 탐식능 실험을 수행 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응집소가와 용혈소가는 대조군에 비해서 각각 P-RWE는 4배와 8배, PREE는 PRPE는 2배와 4배의 증강된 결과를 보였으며, 열수 추출물이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2. 용혈반과 로젯트형성세포에 있어서는 다당류 분획물이 각각 약160%와 196%의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였으나, PRWE와 PREE는 억제되거나 아무런 영향이 없음을 나타내었다. 3. 탐식능의 결과에서 PREE와 PRPE는 복강침출세포, 비장세포, 말초임파구의 식세포에 대해서 약 150%에서 250% 까지의 유의성 있는 식균작용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PRWE는 이들 식세포에 다소 억제된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길경이 biological response modifier적 작용 즉 면역증강과 억제작용을 유도하는 성분이 함께 함유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다음 보에 게제될 항알레르기 작용 결과와 전보에서 게제된 길경의 성부분석과^10) 지방대사 연구 결과^11)를 종합해 볼 때 길경은 영양소 만의 기능 뿐만 아니라 식세포와 B세포 등의 생체방어 기구를 활성화 하고 항알레르기원의 역할이 기대되는 면역생리 기능성 자원으로서의 활용이 기대된다.

In order to research for compound of immunomodulatic and anti-allergic function. Thes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d the effects of hot water extracts(PRWE), ethanol extracts(PREE) and polysaccharide fraction extracts(PRPE) extracted from platycodi radix on immune response. The effect of these platycodi radix extracts on hemagglutinin titer(HA), hemalysin titer(HY), plaque forming cell(PFC), rosette forming cell(RFC) and phagocytosis was investigated by using BALB/C mice.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Generally, the oral administration of extracts fractions for 10 days each other resulted in the enhanced HA and HY. In the experiment of PFC and RFC, the results of experimental groups which was given each samples compared to control group showed the enhanced level of activity such as PRPE 160% and 196% each other. But PRWE and PREE decreased or wear not changed. When PREE, PRPE or PRWE was given to mice orally, PREE and PRPE significantly enhanced the phagocytic activity of peritoneal exudate cells(PEC), spleen cells(SC) and monolymphocytus cell(MC), about from 150% to 250%, but PRWE was decreased.

저자
  • 김명주 | Myung Joo Kim
  • 이미경 | Mi Kyung Lee
  • 장주연 | Joo Yeun Jang
  • 김대곤 | Dae Gon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