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탄화수소계 고분자-실리카 복합막이 적용된 연료전지 스택 성능평가 KCI 등재

Characterization of Fuel Cell Stack Using Hydrocarbon Polymer-Silica Composite Membranes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313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멤브레인 (Membrane Journal)
한국막학회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초록

본 연구에서는 실리카 복합막 기반 고분자 전해질막을 5단 연료전지 스택에 적용하여 성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하여, 개별 구성 요소의 성능도 중요하지만, 전체적인 관점에서 공급되는 연료의 유량이 스택 성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수소의 유량에 크게 의존한다는 사실이 확인하였다. 산소의 유량을 증가시켜도 성능의 변화는 미미한 반면, 수소 의 유량을 증가시키면 성능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수소의 유량 증가는 수소와 산소 유량 비율의 불균형을 초 래하여 장기적으로는 스택 성능과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현상을 스택 구성 요소 및 개별 단위 셀 에서도 관찰할 수 있었으며, 따라서 스택 운전 시 각 구성 요소의 성능을 최적화하는 것 외에도 균일한 유량 제어를 위해 유 로 설계 및 운전 조건을 최적화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실리카 복합막은 최대 출력 기준 25 W 이상의 성능을 나타내어 실제 연료전지 시스템에 적용하기에 충분한 성능을 갖춘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the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a 5-layer fuel cell stack using silica composite membranes as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was evaluated. It was observed that the flow rate of the fuel gases plays a crucial role in stack performance, particularly being mainly dependent on the flow rate of hydrogen. Increasing the flow rate of oxygen resulted in negligible changes in performance, whereas an increase in the flow rate of hydrogen demonstrated performance improvements. However, this led to an imbalance in the ratio of hydrogen to oxygen flow rates, causing significant degradation in stack performance and durability. A decline in stack performance was also observed over time due to the degradation of stack components. This phenomenon was consistently observed in individual unit cells. Based on these findings, it was emphasized that, in addition to optimizing the performance of each component during stack operation, it is important to optimize design and operating conditions for uniform flow rate control. Lastly, the developed silica composite membrane was assessed to have sufficient performance for application in actual fuel cell systems, exhibiting a performance of over 25 W based on maximum power.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실 험
    2.1. 재료
    2.2. MEA 제조
    2.3. 스택 조립
    2.4. 스택 평가
3. 결과 및 토의
    3.1. 전체 스택 성능
    3.2. 개별 단위전지 성능
    3.3. 연료 공급 유량에 따른 성능 변화
    3.4. 구동 시간에 따른 성능 감소
4. 결 론
Acknowledgements
Reference
저자
  • 강현우(경상국립대학교 에너지공학과) | Hyun Woo Kang (Department of Energy Engineering,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황두성(한양대학교 에너지공학과) | Doo Sung Hwang (Department of Energy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 박치훈(경상국립대학교 에너지공학과) | Chi Hoon Park (Department of Energy Engineering, Gyeongsang National U) Corresponding author
  • 이영무(한양대학교 에너지공학과) | Young Moo Lee (Department of Energy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