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중년여성의 건강행위이행 영향 요인 KCI 등재

Factors Affecting the Health Behavior Compliance of Middle-aged Wome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327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구 한국유화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SAST))
초록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건강행위이행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규명하여 건강행위이행을 증진시키 고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자는 D광역시, B광역시에 거주 하고 있는 50~59세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2022년 1월 17일~3월 28일까지 총 10주간 동안 162부의 자료 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건강행위이행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경제상태(중)가 가장 높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다음 경제상태(하), 자기효능감, 지각된 건강상태, 결혼상태(기혼), 정기적인 건강 검진(한다)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설명력은 43.7%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년여성의 건강행위이행을 높이 기 위해서는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건강검진을 받도록 홍보를 하고, 경제적 지원과 함께 자기효능감을 높이고 지각된 건강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promote health behavior compliance and use it as basic data for the program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 by identifying the factors affecting middle-aged women's health behavior compliance. It was collected and analyzed 162 copies of the data for a total of 10 weeks from January 17 to March 28, 2022, targeting middle-aged women aged 50 to 59 living in D and B. As a result of the study, economic status(medium) had the highest impact on health behavior compliance, followed by economic status (low), self-efficacy, perceived health status, married status(married), and regular health checkup(yes). Therefore, it is needed promoting to get regular health checkups, increasing self-efficacy with financial support, and exploring the ways and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hat can improve perceived health status in order to improve middle-aged women's health behavior compliance.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2. 연구방법
    2.1. 연구설계
    2.2. 연구대상
    2.3. 연구도구
    2.4. 자료수집
    2.5. 자료분석 방법
3. 결과 및 고찰
    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2. 대상자의 갱년기 증상, 지각된 건강상태,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노화불안, 건강행위이행 정도
    3.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행위이행 차이
    3.4. 대상자의 갱년기 증상, 지각된 건강상태,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노화불안, 건강행위이행 간의 상관관계
    3.5. 대상자의 건강행위이행에 미치는 영향 요인
    3.6. 고찰
4. 결 론
References
저자
  • 김송순(동원과학기술대학교 간호학과, 조교수) | Song-Soon Kim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Dongwon Institute of Science and Thchnology)
  • 김향수(중원대학교 간호학과, 조교수) | Hyang-Soo Kim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Jungwon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