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朴詠의 『篆中庸』 硏究 KCI 등재

A study of the Seal Style of Park You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328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600원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예술연구))
초록

본 논문은 전서 학습서로 현재까지 발견된 것 중 가장 오래 된 1544년(중종 39) 박영(朴詠)이 편찬한 전중용(篆中庸)에 쓰인 전서체(篆書體)들에 대한 형태적 특징 분석과 고찰이다. 문헌에 남아 있는 금성(錦城) 박영(朴詠)의 기록을 살펴보던 중 일부 논문에 박영(朴詠)의 이름자 영(詠)에 오기가 있음을 발견하고 그에 대한 근거를 본문에서 우선 밝혔다. 전중용(篆中庸)의 전서(篆書) 33체(體)의 명칭별(名稱別) 서 체(書體)의 특징(特徵)을 분석해 보고, 상(商), 주(周), 춘추전국 시대(春秋戰國時代), 진(秦) 등 시대와 국가 및 용도에 따라 다 양했던 전서(篆書)를 박영(朴詠)의 전중용(篆中庸)을 기준으 로 하여 형태별(形態別)로 비교 분류(分類)한 결과 김진흥(金振 興)의 전문자(篆文字) 38 體의 ‘구서(龜書)’, ‘정소전(鼎小篆)’, ‘진새전(秦璽篆)’, ‘고정서(古鼎書)’, ‘태극전(太極篆)’ 5체는 김진 흥(金振興)의 전문자(篆文字)에만 있었다. 이외 33체는 120년 이나 뒤에 쓰인 김진흥(金振興)의 전문자(篆文字)를 박영(朴 詠) 전중용(篆中庸)의 전서(篆書) 33체와 비교하여 본 결과 자형과 종류에 변화가 거의 매우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조선 후기 17세기까지 박영(朴詠)의 전중용(篆中庸) 은 교본서로서 이후의 전서(篆書) 저술(著述)과 학습(學習)에 영향을 주었으며 저자의 바람대로 조선 후기 김진흥의 전서 편찬에도 영향을 준 매우 귀중한 자료임이 확인되었다.

This thesis is about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written calligraphy written in Jeonjungyong(篆中庸) compiled by Park Yeong(朴詠) in 1544 (39th year of King Jungjong), which is the oldest among the books found so far. analysis and observation. While examining the records of Geumseong Park Yeong(朴詠) left in the literature, it was found that some of the papers had a typo in the name of Park Young(朴詠), Young(詠). Jeon Jung-yong(篆中庸)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33 fonts by name, Based on Park Yeong's Jeonjungyong(篆中庸), various types of writing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eriod, country, and use, such as the Warring States Period and the Qin Dynasty.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and classification, the 'Guseo', 'Jeongsojeon', and 'Jinsaejeon' of Jeonmunja(篆文字) 38 body of Kim Jin-heung(金振興) ', 'Gojeongseo(古鼎書)', and 'Taegeukjeon(太極篆)' were found only in Kim Jin-heung's  Jeonmunja(篆文字). The other 33 fonts are the result of comparing Jeonmunja(篆文字) of Kim Jin-heung(金振興) written 120 years later with 33 complete letters of Jeon Jung-yong(篆中 庸) of Park Yeong(朴詠). It was found that the changes in type and type were almost very similar. Therefore, until the 17th century in the late Joseon Dynasty, Park Yeong's Jeonjungyong(篆中庸) as a textbook had an impact on the writing and study of Jeonseo (篆書) afterwards, and as the author's wish, Kim Jin-heu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It has been confirmed that it is a very valuable material that influenced the compilation of the complete collection of books.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朴詠과 『篆中庸』에 관한 문헌고증
    1. 박영(朴詠)에 대한 문헌 기록 검토와 이름자 영(詠)
    2. 朴詠의 『篆中庸』
Ⅲ. 朴詠 『篆中庸』과 金振興 『篆文字』 比較
    1. 17세기 金振興의『篆大學』
    2. 『篆中庸』 과 『篆大學』 의 전서 목록
    3. 朴詠의 『篆中庸』 과 金振興의 『篆大學』 비교(比較)
    4. 朴詠篆中庸과 金振興의 전서체 요약 설명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김순기(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박사과정) | KIM, Soonki (Ph.D. Program. Dongbang Culture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