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이성선의 ‘산의 시학’ : 우주적 교감과 불교적 상상력 KCI 등재

A “Mountain Poetics” of Lee Sung‒Seon : Cosmic Communion and Buddhist Imagin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342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300원
불교문예연구 (Studies on Buddhist art and culture)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Studies on Buddhist art and culture)
초록

본 논문은 이성선(1941~2001)의 시적 세계를 우주적 교감과 불교적 상상력의 관점에서 살펴보는 데 있다. 자연은 인간의 삶과 분리될 수 없 는 유기체다. 이성선의 시는 자연과 인간관계에 대한 통찰이었다. 자연계 의 모든 존재에 귀를 기울이고 우주적 교감을 시화한 그의 시는 불교적 색채가 선명하게 드러나는 시집 산시(山詩)를 비롯한 다른 여러 시집들 에서도 보이듯이 ‘산의 시학’의 원천이 되었다. 이는 곧 해탈을 지향하는 불교적 사유와 맞닿아 있다. 이 글에서는 그의 시적 세계를 해탈 지향, 우주적 교감과 화응(和應), 불교적 사유의 상상력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성선은 잃어버린 자아를 찾기 위해 고통스런 창작활동에 전념한다. 철저한 자아 파괴를 통해 해탈을 꿈꾸고, 현실적 구속과 미망에서 벗어나 진정한 자유를 향유하려는 의식을 보여주고 있다. 이런 의식의 구체적 진 술은 「출가」와 같은 비움과 해탈에서 무소유의 신성한 세계관을 구축하 고 있다. 무엇보다 이성선에게 자연은 구도(求道)와 합일의 대상이었다. 그가 만 난 사물들은 우주와 내밀하게 연결되어 교감과 화응하고 있다. 따라서 형 이상학적인 것과 천체 이미지가 우주적 상상력으로 매개되고. 초월적 공 간의 한계를 뛰어 넘는 상상력으로 일체의 집착까지 버리고 우주와 교감 하게 된다. 나아가 이성선은 자연을 화엄적 상상력으로 인식하였다. 설악을 화엄 의 바다로 인식하며, 진정한 구도자의 모습을 찾고, 인간은 우주의 일부 라는 불교적 이미지와 초현실의 선적인 경지로 인간과 자연의 영속적인 합일을 지향하였다. 이러한 시적 태도는 ‘진속불이(眞俗不二)’ 화엄적 세 계관을 배태시키면서 불교적 상상력을 불러일으켰다. 산시(山詩)는 소재주의에서 벗어나 화엄적 내면세계로 우주적 교감과 불교적 상상력을 화응하는 경향을 두드러지게 나타내고 있다.

The purpose of paper is to look into “mountain poems” of Lee Sung-seon’s (1941~2001) focusing his cosmic communion and Buddhist Imagination. Nature is an organism that cannot be separated from human life. His poetry was an insight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human beings. His poetry, which paid attention to all beings in the natural world and poeticized cosmic communion, became the source of “mountain poetics”. This is in line with the Buddhist thought that seeks liberation. I stressed his poetic world was examined focusing on the pursuit of liberation, cosmic communion and harmony, and Buddhist thinking. He devotes himself to painful creative activities to find his lost self. He dreams of liberation through thorough self-destruction, and reveals a mentality to enjoy true freedom by escaping from the restraints and illusions of the real world. The concrete statement of this mentality builds a sacred world view of non-possession as exhibited in the emptiness and liberation implied in “Leaving home.” For him, nature was the object of his seeking the truth and unification. The objects he met are intimately connected to the universe and they relate to and resonate with each other. Metaphysical ideas and celestial images are conveyed through cosmic imagination. With imagination that transcends the limits of transcendental space, it becomes possible to abandon all obsessions and commune with the universe. He appreciated nature through the Hwaeom imagination. Recognizing Mt. Seorak as the sea of Hwaeom, searching for an archetype of a seeker of truth, he pursued permanent union of humans and nature in agreement with the Buddhist image of human beings being a part of the universe and the surreal state of Zen. It aroused Buddhist imagination while giving birth to the Hwaeom world view of the nonduality of the ultimate and the conventional aspects of truth. Transcending material-oriented approach, Lee Sung-seon’s “mountain poems” clearly shows the tendency of resonating cosmic communion and Buddhist imagination into the inner world of Hwaeom.

목차
국문초록
I. 들어가는 말
II. 구속 벗어나기와 해탈 지향성
III. 우주적 교감과 화응(和應)
IV. 불교적 사유의 상상력
V.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민미경(한국숲과문학명상협회 간사) | Min, Mi-Gyeong (Assistant administrator, Korean Meditation Institute of Forest and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