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전라북도 무주군 적상산 일대를 중심으로 한 가상현실 기반 지질학습장(VFT) 개발과 적용 KCI 등재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Virtual Reality-Based Geological Field Trip around Mt. Jeoksang, Muju-gun, Jeollabuk-do,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343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This study developed a geological virtual reality-based field trip (VFT) to find an alternative to replace the actual field trip, which is often considered lightly by students owing to difficulties in the school. For this purpose, we selected a total of five geological learning sites that focus on the Mt. Jeoksang Muju-gun, Jeollabuk-do, Korea by evaluating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and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a VFT. The developed VFT provided middleschool students with an interactive space to observe and explore rocks and geological structures, including orbicular granite gneiss, tuff, conglomerate, sandstone, stratification, and joints. A semi-structured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the 1st-grade middle-school students to evaluate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VFT. The responses of the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to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relationships between the reaction words. Results show that the students were able to sense reality through the VFT, which enabled them to understand and remember the characteristics of rocks. Therefore, students can indirectly have a sense of reality of an outdoor experience through the VFT program, which positively influences their learning. Our study shows that VFT can be effectively utilized as a meaningful learning resource in schools.

본 연구는 가상현실 지질학습장을 개발하여 학교 현장에서 겪는 어려움으로 인해 소홀히 여겨지는 야외 답사를 대체하는 방안을 찾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 내용 요소와 가상현실 개발 가능성을 검토하여 적 상산 일대를 중심으로 총 5곳의 지질학습장을 선정하였다. 가상현실 지질학습장은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가상의 공간에 서 암석과 지질구조를 관찰하고 탐구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구상화강편마암, 응회암, 역암, 사암, 층리, 절리 등 학 습 요소를 포함하였다. 개발한 학습장이 갖는 교육적 가치를 알아보고자 중학교 1학년 학생 7명에게 적용하고 반-구조 화된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학생 반응 결과를 언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단어 간 의미 있는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학생들은 가상현실일지라도 현실감을 느낄 수 있었으며, 이는 곧 암석의 특징을 이해하고 기억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다. 이는 가상현실 야외지질학습 프로그램을 통해 야외에서 이루어지는 현실감을 학생들에게 간접적으 로 경험하게 함으로써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무주군이 지닌 지질 학습 자원이 가상현실을 통해 학교 현장에서 유의미한 학습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저자
  • 조규성(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과학교육연구소, 54896,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백제대로 567) | Kyu-Seong Cho (Divison of Science Education/Science Education Institutte, Je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54896, Korea)
  • 정동권(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과, 54896,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백제대로 567, 전주용소중학교, 54834,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송천로 112) | Dong-Gwon Jeong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Je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54896, Korea, Jeonju Yongso Middle School, Jeonju 54834,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