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유아의 마음이론이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유능감의 매개효과 KCI 등재

Mediating Effect of social competence in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Mind Theory 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401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500원
코칭연구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한국코칭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of Coaching)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마음이론과 자기조절학습능력, 사회적 유능감의 상 관관계를 살펴보고, 유아의 마음이론이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유능감의 매개효과에 대해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위치 한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3~5세 유아 307명이고,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의 마음이론과 자기조절학습능 력, 사회적 유능감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유아의 마 음이론이 높을수록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사회적 유능감이 높고, 사회적 유능감 이 높을수록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유아의 마음이론 은 자기조절학습능력을 의미 있게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고, 이 과정에서 사 회적 유능감이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유아의 마음이론이 자기 조절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사회적 유능감이 자기조절학습능력을 높일 수 있는 변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 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을 높이는 데 마음이론과 사회적 유능감을 균형 있게 지원 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mind theory,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social competence, and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ompetence in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mind theory 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07 children aged 3 to 5 who were enrolled in kindergartens in Gyeonggi-do.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the Sobel test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mind theory.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social competence: the higher the early childhood mind theory, the higher the social competence, the higher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Second, early childhood mind theory appeared as a variable that meaningfully predict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social competence had a mediating effect in this process. In other words, social competence acted as a variable that can increas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in the process of early childhood mind theory affecting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mind theory and social competence should be supported in a balanced manner in enhancing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in early childhoo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연구절차
    4. 자료처리
Ⅲ. 연구결과
    1. 유아의 마음이론, 자기조절학습능력, 사회적 유능감의 일반적 경향
    2. 유아의 마음이론, 자기조절학습능력, 사회적 유능감 간의 관계
    3. 유아의 마음이론이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유능감의 매개효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김재명(경기대학교 유아교육학과 박사과정) | Kim Jae-myoung (Doctoral Student,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Kyonggi University)
  • 박정하(경기대학교 유아교육학과 박사) | Park Jung-ha (Doctor,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Kyonggi University)
  • 부성숙(경기대학교 유아교육학과 교수) | Pu Sung-sook (Professor,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Kyonggi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