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의미 있는 개체 제시 방식이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중심 편향 원리와 규범적 관점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KCI 등재

The Influence of Presentation Mode on Preference of the Meaningful Entities: The Interaction between Inward Bias and Canonical View Poin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420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의미 있는 대상의 선호도 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원리인 내적 편향 원리와 규범적 관점 간의 상호작용 양상을 연구하는 데에 있다. 개별 개체의 친숙도가 규범적 관점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 또한 고려 하여 친숙도 수준에 따른 두 선호도 원리의 작용 양상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중 대안 선택 과제를 활용한 행동 반응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친숙도 수준(높음/낮음)에 따라 각 8개의 단일 개체를 실험 재료로 하여 내 적 편향 원리 준수 여부와 규범적 관점 준수 여부를 조작하였다. 실험 결과, 내적 편향 원리를 준수한 상태에서 개체 가 제시된 경우가 내적 편향 원리가 위배된 상태로 개체가 제시된 경우보다 더 선호되었다. 선호 판단에 걸리는 반응 시간 또한 더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규범적 관점 준수 여부는 선택 빈도 및 반응 시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개체의 친숙도는 선호도 판단과 관련된 의사 결정에 간섭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개체 선호도 원리 중 내적 편향의 강도가 규범적 관점에 비해 더 우세하며, 단일 개체가 제시될 때 그에 대한 선호 판단에 있어서 그 개체가 가진 속성보다 시각적 문맥과의 상호작용이 중요하게 작용한다 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nteraction between inward bias and canonical viewpoint, which are factors known to affect preference for meaningful objects. It also considered the familiarity of each entity in terms of their influence on the existence of a canonical viewpoint and demonstrated whether the relative strength of two preferences varies depending on familiarity. To confirm this, we conducted a behavior experiment using a two-alternative forced-choice task. The experimental stimuli were eight single objects for familiarity level (high/low), whereas the entity’s inward bias and canonical viewpoint were observed or violated. Results showed that when inward bias was obeyed, the frequency of being chosen as a preferred option was higher, and the reaction time for preference judgment was shorter. However, the observation of a canonical viewpoint did not affect frequency and reaction time. Moreover, familiarity played an interference role in aesthetic judgme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nward bias is stronger than canonical viewpoint, ultimately implying that a single object’s interaction with the visual context is superior to the entity’s attribute as regards to preference judgment.

목차
Abstract
요 약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내적 편향 원리(inward bias)
    2.2. 규범적 관점(Canonical viewpoint)
3. 연구방법 및 절차
    3.1. 실험 재료 선정
    3.2. 실험 절차
    3.3. 피험자
    3.4. 데이터 분석
4. 연구 결과 및 논의
    4.1. 실험 결과
5. 결론
REFERENCES
저자
  • 정혜녕(건국대학교 문화컨텐츠·커뮤니케이션(학과간)학과 박사과정) | Hye-Nyeong Chung
  • 윤신애(건국대학교 KU 커뮤니케이션 연구소 한국연구재단 인문과학 학술연구교수) | Shin-Ae Yoon
  • 이현석(건국대학교 문화컨텐츠·커뮤니케이션(학과간)학과 석사) | Hyun-Suk Lee
  • 홍우평(건국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 U-Pyong Hong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