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경기육괴 중부 의암 편마암 복합체 호상편마암의 저어콘 U-Pb 연령과 미량원소: 경기육괴 기반암의 퇴적 시기와 변성작용에 대한 고찰 KCI 등재

Zircon U-Pb and Rare Earth Elements Analyses on Banded Gneiss in Euiam Gneiss Complex, Central Gyeonggi Massif: Consideration for the Timing of Depositional Event and Metamorphism of the Basement Rocks in the Gyeonggi Massif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424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광물과 암석 (Korean Journal of Mineralogy and Petrology)
한국광물학회 (The Mineralogical Society Off Korea)
초록

경기육괴 중부 의암 편마암 복합체에 분포하는 호상편마암에 대해 저어콘 연대 및 희유원소 분석을 진행했으며 분석 결과를 토대로 경기육괴 기반암류 모암의 퇴적시기와 이들의 변성작용 및 변성시기에 대해 검토하였다. 호상편마암의 쇄설성 저어콘은 신시생대와 고원생대 경계 부근(2500-2480Ma)에서 가장 두드러 진 연령 피크를 보이며 이들과 함께 고원생대 중기 시데로스기부터 라이악스기에 해당하는 다수의 연령이 확 인되었다. 쇄설성 저어콘의 가장 젊은 연령 피크는 2070Ma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호상편마암 모암의 퇴적 시 기가 적어도 2070Ma 이후였음을 의미한다. 한편, 저어콘 외연부에서 1966 ± 39Ma ~ 1918 ± 13Ma에 해당하는 변성작용 연령이 확인되었으며 오차범위, 불일치도 그리고 평균 제곱 가중편차 값을 고려할 때 1918 ± 13 Ma 가 가장 합리적인 변성작용 시기를 지시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들 저어콘 외연부의 결정화 온도는 690-740℃ 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경기육괴에서는 1880-1860Ma에 일어난 광역변성작용 이전에도 고도의 변성작용이 있 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The zircon U-Pb and trace element analyses were performed for banded gneiss in the Euiam gneiss complex, central Gyeonggi Massif. An age of detrital zircon shows predominant age peaks at ca. 2500-2480 Ma with numerous ages ranging from Siderian to Rhyacian period. The youngest age peak of detrital zircon constrains the maximum deposition age of protolith of banded gneiss at ca. 2070 Ma. Meanwhile, the zircon rim yielded metamorphic age of ca. 1966 ± 39Ma ~ 1918 ± 13Ma. Based on the error range, degree of discordancy, and value of mean squared weighted deviation, we considered that the age of 1918 ± 13 Ma is the most reasonable age indicating the timing of metamorphism for banded gneiss. The zircon rims yield Tiin- zircon crystallization temperature of 690-740℃. Therefore, we suggested that there was a high-grade metamorphic event in the Gyeonggi Massif at ca. 1918 Ma which is older than the metamorphic event that occurred in the Gyeonggi Massif during ca. 1880-1860 Ma.

목차
요 약
Abstract
서 론
지질배경 및 암상기재
분석방법
결 과
토 의
결 론
사 사
REFERENCES
저자
  • 이병춘(한국지질자원연구원 국토지질연구본부 지질연구센터, 전남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지질환경전공) | Byung Choon Lee (Geology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Department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조등룡(한국지질자원연구원 국토지질연구본부 지질연구센터) | Deung-Lyong Cho (Geology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