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2.
        201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tegrated-Salmi can be suggested as a character of Da-po type Kong-po in Korea’s traditional architecture. However, only few studies are made on this subject yet.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tegration process of Salmi through cases of certain Kong-po which have the same number of inner and outer Chul-mok and are also known to precede in tim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like below. First, Integrated-Salmi is more dominant in inner and outer 3 Chul-mok Kong-po than in inner and outer 2 Chul-mok Kong-po. Second, While inner and outer 2 Chul-mok prevail in Yeong-nam region, inner and outer 3 Chul-mok prevail in Ho-nam region. Third, integrated Salmi of Inner and outer 3 Chul-mok, first appeared in internal Jusangpo to be carried over to internal Juganpo then eventually to outer Salmi. Fourth, the reason why integrated form precede in internal salmi of inner and outer 3 Chul-mok Kong-po is due to 2 main factors. First of which is the impact of integrated Boaji that developed in Da-po type since the early 16th century. The second factor is downward expansion of Cho-gak’s Boaji which was adopted to cope with disorders made in structure of Chum-Cha, due to inner and outer 3 Chul-mok type buddhist temples’ wide reconstruction throughout Jeolla region follow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is study is to disclose the regularity of development process of Salmi’s Cho-gak(草 刻)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Korea’s Da-po type Kong-po.
        4,300원
        3.
        202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경기육괴 중부 의암 편마암 복합체에 분포하는 호상편마암에 대해 저어콘 연대 및 희유원소 분석을 진행했으며 분석 결과를 토대로 경기육괴 기반암류 모암의 퇴적시기와 이들의 변성작용 및 변성시기에 대해 검토하였다. 호상편마암의 쇄설성 저어콘은 신시생대와 고원생대 경계 부근(2500-2480Ma)에서 가장 두드러 진 연령 피크를 보이며 이들과 함께 고원생대 중기 시데로스기부터 라이악스기에 해당하는 다수의 연령이 확 인되었다. 쇄설성 저어콘의 가장 젊은 연령 피크는 2070Ma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호상편마암 모암의 퇴적 시 기가 적어도 2070Ma 이후였음을 의미한다. 한편, 저어콘 외연부에서 1966 ± 39Ma ~ 1918 ± 13Ma에 해당하는 변성작용 연령이 확인되었으며 오차범위, 불일치도 그리고 평균 제곱 가중편차 값을 고려할 때 1918 ± 13 Ma 가 가장 합리적인 변성작용 시기를 지시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들 저어콘 외연부의 결정화 온도는 690-740℃ 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경기육괴에서는 1880-1860Ma에 일어난 광역변성작용 이전에도 고도의 변성작용이 있 었던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