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利川 雪峯山城의 築城法 硏究

A Study on the Constructing Method of Seolbong Fortress in Iche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457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400원
한국성곽학회 (Korea Fortress Academy)
초록

이천 설봉산성은 백제 한성기 석축산성의 존재에 대한 논쟁의 중심에 있는 산성 중 하나 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논의에 앞서 산성의 축조 주체 및 구조를 밝히기 위한 기본적인 근 거자료가 되는 설봉산성의 성벽 및 토층 양상에 대해 재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설봉산성은 초축 이후 최소한 4단계에 걸쳐 시간의 흐름에 따라 수·개축되며 운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가장 먼저 확인되는 단계에서는 성벽과 기단보축, 암거식 수구 가 축조되는데, 석축산성의 초축은 신라가 주체가 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다음 단계에서는 서문지의 축조 및 성벽의 수·개축이 이루어지며 성 내부 공간의 연약 한 지반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부엽층 및 목재를 이용하는 등 대대적으로 산성 안팎이 수·개축된다. 이후 서문지 및 성벽이 한차례 개축되며, 통일신라 시기의 유구·유물은 물론 고려·조 선시대와 관련된 건물지 및 유물 역시 확인되는 등 설봉산성은 오랜 시간 동안 지리적·군 사적·행정적 중요성을 잃지 않고 운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석축산성과의 관련성은 확인할 수 없었으나 백제 유구 및 유물이 확인되는 것 역시 분명 한 사실이다. 이는 최소한 산성이 축조되기 이전 해당 공간을 백제가 점유하고 있었음을 시 사하는 것이며, 고고학적 증명을 위해서는 차후 성 내부 공간 및 치성·북문지 등의 조사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Seolbong Fortress in Icheon is one of the stony mountain fortresses and is at the center of the controversy over the existence of stony fortresses during the Hanseong Period of Baekje Kingdom. This study reevaluated the walls and soil layers of Seolbong Fortress ,the basic evidence for identifying the constructor and structure of the fortress and required before discussing it. The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Seolbong Fortress was renovated,reconstructedand operated over at least four stages after the initial construction. During the first stage, walls,Gidanbochook, and culvert drain system were constructed. Moreover, it is believed that Silla first constructed Seokchuksanseong Mountain Fortress. In the next stage, the remains of the west gate was constructed and the walls were renovated and reconstructed. Moreover,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mountain fortress were renovated and reconstructed on a large scale (e.g., using organic horizon and wood) to strengthen the fragile ground of the fortress' interior space. After that, the remains of the west gate and the walls were rebuilt once. Building sites and relics related to the Goryeon and Joseon periods ,as well as remains and relics of the Unified Silla period, were identified. Although the relationship with stony mountain fortresses could not be confirmed,Baekje’s remains and relics were found. The results suggested that Baekje occupied the space at least before the fortress was built. It will be necessary to closely examine it when investigating the interior space of the fortress, battlement, and the remains of the north gate in the future for archaeological proof.

목차
Ⅰ. 머리말
Ⅱ. 연구사 및 조사 내용
Ⅲ. 설봉산성의 축조 양상과 특징
    1. 성벽
    2. 기단보축
    3. 문지
    4. 수구
Ⅳ. 설봉산성의 축성 과정과 시기
Ⅴ. 맺음말
저자
  • 박가영((사) 한국문화유산협회 연구원) | Park Ga-Yo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