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식물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식물친숙도와 환경 친화적 태도에 미 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s of Plant Education Program on Plant Familiarity and Pro-environmental Attitu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506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is increasing due to various environmental problems, including climate change. This study developed a plant utilization education program for environmental education, applied it to 121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evaluated their pro-environmental attitudes and plant familiarity.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using plants were generally highly satisfactory. Program satisfaction was influenced by factors such as time, instructor, content, and locati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expressed a high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and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and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The program was effective in acquiring environmental knowledge and improving mood, and it had a positive impact on raising awareness of the environment. Education in the areas of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environmental pollution had an impact on pro-environmental attitudes. In particula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ducation between lower and higher grade levels. Experiencing environmental education activities from an early age is expected to improve environmental sensitivity. Plant educational activities have a positive effect on plant familiarity and are advantageous not only for acquiring cognitive knowledge but also for improving emotional aspects. For plant education programs that are effective in improving environmental attitudes and plant familiarity, the composition of the program's operating hours, instructors, and content will be important.

기후변화를 비롯한 다양한 환경문제로 인하여 환경 교육의 중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환경 교육 을 위한 식물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초등학생 121명에게 적용한 후 환경친화적 태도와 식물친숙도를 평가하였다. 식물 환경교육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전체적으로 만족도가 높았으며, 프로그램 시간, 강사, 내용, 장소 등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초등학생들은 프로그램 참여 의 사가 높으며, 만족도와 참여 의사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프로그램을 수행하지 않은 학생과 비교하면 식물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로 환경 지식습득, 기분개선이 높게 분석되어 식물 교육 프 로그램은 환경에 대한 인식의 제고에 긍정적 효과가 있다. 환경친화적 태도의 하위 영역인 환경 보호와 환경오염에 대한 인식에서 효과가 있으며, 학년이 낮을수록 교육에 의한 차이가 있었다. 저학년부터 다양한 환경 교육 활동을 경험하게 되면 환경 감수성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식 물 교육활동은 식물 친숙도에 긍정적 효과가 있으며, 인지적 측면에서 지식습득의 효과 뿐 아니 라 정서적 측면의 향상에도 유리하다. 환경친화적 태도와 식물친숙도 향상에 효과가 있는 식물 교육프로그램의 참여도 향상을 위해서는 만족도를 제고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프로그램 시 간, 강사, 내용 등의 운영 및 구성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2.2 교육 프로그램
    2.3 측정 도구
    2.4 조사 및 분석방법
3. 결과 및 고찰
    3.1 식물/환경 교육 프로그램 만족도
    3.2 환경 친화적 태도
    3.3 식물친숙도
4. 결론
저자
  • 정나라(국립원예과학특작원 도시농업과) | Nara Jeong (Urban Agriculture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bal Science)
  • 박기영(공주대학교 실과교육과) | Kiyeong Park (Department of Practical Acts Education,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tio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