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무장애숲길 이용자의 중요도 및 만족도 인식에 관한 연구 - 대모산 자락길(무장애 나눔길)을 중심으로 - KCI 등재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of Barrier-free Forest Road Users - Focused on Daemosan Jarak-gil(Barrier-free Forest Road)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506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Recently,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users of the newly established barrier-free forest road in Seoul, South Korea. However, there is a lack of clarity in the terminology used to refer to such roads, which include barrier-free sharing roads, barrier-free trails, and Jarak-Gil. In this study, we aimed to establish a concept of obstacle-free forest roads, which encompass different types of roads constructed in urban areas. We also sought to determine visitors' awareness of Daemosan Jarak-Gil, the most recent barrier-free sharing road, and their satisfaction levels. Our findings indicate that a barrier-free forest path is a trail at the base of a mountain with a slope of 8% or less, enabling people with disabilities in wheelchairs to ascend the mountain easily. Moreover, the factors that affect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users of Daemosan Jarak-Gil include low traffic volume and parking facilities, traffic facilities and comfort factors, rest facilities, and nearby communication facilities. Based on a comparison of positive and negative factors, we identified 18 positive factors such as accessibility, well-managed pedestrian passage, safety and security, and availability of an information center. These results can provide a basis for planning and managing barrier-free forest roads while taking user satisfaction into consideration.

최근 낮은 경사도와 편리한 보행 환경 조성으로 많은 사람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무장애숲길 이 서울 도심 내에 조성되면서 이용자가 늘고 있다. 그러나 무장애숲길은 비슷한 용어인 무장 애 나눔길, 무장애 산책로, 자락길 등 여러 명칭과 혼용하여 쓰이고 있고 무장애숲길의 이용자 의 만족도와 관련된 연구 또한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선행연구들을 토대 로 도심에 조성된 다양한 형태의 길을 비롯한 무장애숲길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였다. 또한, 가 장 최근에 조성되어 인프라 조성 및 향후 체계적 관리방안 마련의 필요성이 있는 대모산 자락 길(무장애 나눔길)을 대상으로 방문한 이용객들의 중요도 및 만족도 인식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무장애숲길은 경사가 비교적 완만한 산의 초입 산자락에 평균 8% 이내 의 데크 산책로를 조성해 휠체어를 탄 장애인도 쉽게 산을 오를 수 있게 조성된 곳으로 정의 할 수 있다. 둘째, 대모산 자락길 이용자의 중요도 및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적은 교통량 및 주차시설, 교통 시설과 쾌적성 요인, 휴게시설, 근처 통신시설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모 산 자락길에 대한 중요요인의 긍정 및 부정적 요소들을 비교한 결과, 접근성, 관리가 잘 된 보 행자 통로, 안전 및 보안, 정보 센터의 가용성 등 18가지 긍정적인 요소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기존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도심에 조성된 다양한 형태의 길을 비롯한 무장애숲길에 대한 용어를 정리하고 대모산 자락길의 이용자중요도 및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이용자 만족을 고려한 무장애숲길 조성계획 및 관리에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 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1. 서론
2. 이론적 고찰
    2.1 관련 선행연구
    2.2 서울시 무장애숲길 현황
3. 연구 방법
    3.1 연구대상지
    3.2 연구 방법
4. 결과 및 고찰
    4.1 대모산 자락길 이용실태 설문조사 결과
    4.2 대모산 자락길 중요도 및 만족도 분석 결과
5. 결론
저자
  • 박지영(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 | Jiyoung Park (Interdisciplinary program in Landscape Architec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정다애(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 | Daae Chung (Interdisciplinary program in Landscape Architec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