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6년 고성산불지역의 복원유형별 식생구조와 종다양도 변화를 파악하여 생태적 관점에서 복원의 효과를 정략적으로 평가하고자 자연복원지와 인공복원지로 구분한 영구조사지를 대상으로 매목조사와 군집분류를 수행하였다. 조사구 26개소를 대상으로 이원지표종분석(TWINSPAN)과 DCA분석을 통해 분류한 결과, 군집 I (신갈나무-굴참나무 군집), 군집 II (소나무군집) 2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군집 별 상대우점치 분석 결과, 군집 I은 굴참나무와 신갈나무가 우세한 가운데 졸참나무의 출현으로 참나무류 간의 경쟁이 예상된다. 군집 II는 소나무가 우점하는 가운데 잣나무가 출현하는 군집으로 소나무 군집이 유지될 것이나 향후 아교목층의 참나무류와의 경쟁이 예상된다. 군집 간 유사도지수는 32.31%로 나타났다. 종다양도지수는 군집Ⅱ에서 1.3940으로 군집Ⅰ의 1.0768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연복원지는 활엽수 중심으로 맹아 재생이 일어나 군집 I과 같은 참나무림으로 천이가 진행되었다. 인공복원지는 지속적인 관리로 인해 개체수는 줄었으나 생육공간 확보로 자연복원지보다 원활한 직경생장을 보이며 초기 식재종 중심의 군집으로 천이가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In 1996, to identify changes in vegetation structure and species diversity by type of restoration in the Goseong forest fire area, a survey and classification were conducted on permanent survey sites divided into natural and artificial restoration sites from an ecological perspective. As a result of analysis through TWINSPAN and DCA for 26 survey areas, they were classified into 2 groups, Q. mongolica-Q. variabills community (Cluster I) and P. densiflora community (Cluster II).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relative dominance values for each cluster, Cluster I is expected to compete with Quercus because Q. mongolica-Q. variabills trees are dominant. Cluster II is dominated by P. densiflora, and competition with Quercus in the subtree layer is expected. The similarity index between clusters was 32.31%. The species diversity index was 1.3940 in cluster II, higher than 1.0768 in cluster I. In the nature restoration site, germ regeneration occurred mainly in broad-leaved trees, and succession progressed to Quercus forests such as Cluster I. Although the number of individuals in the artificial restoration site decreased due to continuous management, it showed smooth diameter growth compared to the natural restoration site due to securing growth space. It was confirmed that succession was progressing to the cluster centered on the initial planting spe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