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분석적 관점에서 미술작품이 자신의 내면을 이해할 수 있는지와 자기탐색을 통해 치유적 효과가 있는지 프리다 칼로의 작품을 통해 살 펴보는 것이다. 연구의 접근은 정신분석 미술치료관점 즉, 그림이 무의식의 표현 이며 전이된 무의식의 내용을 해석하고 통찰하면서 치료가 된다는 미술심리치료 의 이론적 입장이 예술가의 작품을 통해 지지되는지에 대한 검증 필요성에 기반 한다. 연구방법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프리다 칼로 인생의 주요 전환기에 그려진 작품을 시대순으로 정리하여 다양한 연구문헌을 참고하여 작품 속에 투사 된 무의식의 상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프리다 칼로의 작품은 자신의 불안, 억압, 갈등의 적극적인 탐색 과정이었으며 미술의 치료적 속성인 심상, 승화, 표 현, 카타르시스의 치료기제가 모두 작용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 탕으로 미술의 창작행위는 표현자체로 치료적 의미를 가져다준다는 것을 알 수있다.
Background: This study examines whether a work of art can understand Frida Kahlo's inner self from a psychoanalytic point of view and whether it has a healing effect through self-exploration. The study's approach is based on the need to verify whether the artist's work supports the theoretical position of art psychotherapy, that is, painting is an expression of unconsciousness and is treated by interpreting and insighting the transferred unconscious content. Purpose: From a psychoanalytic point of view,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major works in the transition period of life with Frida Kahlo and to find out the expressiveness and healing meaning of art. Method: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problem, the works drawn at the major turning point of life with Frida Kahlo was organized in chronological order, and the symbols of unconsciousness projected into the works were analyzed by referring to various research documents. Results: Frieda Kahlo's work was an active search process for his anxiety, oppression, and conflict, and it seems that the therapeutic properties of art, the image, sublimation, expression, and catharsis, all worked. Conclusion: It can be seen that the act of expressing art brings therapeutic meaning to the act of expression itsel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