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 서식 흰개미의 유인물질로서 이산화탄소(CO2)의 적용 가능성 KCI 등재

Applicability of Carbon Dioxide as an Attractant for Termites in Republic of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567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한국응용곤충학회지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한국응용곤충학회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초록

한국의 목조건축문화유산은 상당수가 산림에 인접하여 흰개미에 의한 피해에 취약하다. 국내 흰개미 방제법은 살충제 접촉을 통한 화학적 방제법이 주로 이용되며, 방제 기간을 단축하기 위해서는 흰개미를 빠르게 약제까지 유인시킬 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서식 흰개미 에 대한 유인물질로 이산화탄소를 선정하여 유인여부 및 적절한 유인농도를 탐색하였으며, 지중 환경에서의 유인효력 기초평가를 진행하였다. 평가를 통해 흰개미에 대한 이산화탄소의 유인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이산화탄소 농도 10% 이하의 유효한 범위를 선정하였다. 또한 지중에서의 유인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지중 환경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파악하였다. 향후 현장에서 이산화탄소의 적용방안을 연구함으로써, 목조건축문화유 산의 흰개미 방제 시 개선된 방제 효과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n the Republic of Korea, many of the wooden architectural heritage are located in forests and, therefore, are vulnerable to termite damage. In Korea, the predominant approach to termite control involves chemical control methods using termiticides. The rapid attraction of termites to termiticides is essential to shorten the control period.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the attraction of Korean termites to carbon dioxide and the appropriat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required for effective attraction by conducting a basic experiment on the attracting effect in the underground environment. The results showed that carbon dioxide is effective for attracting termites, and an effective concentration range of 10% or less was selected. Additionally, this study established the potential and applicability of carbon dioxide as an attractant in the control of subterranean termites. Future studies should aim at conducting field studies on the application of carbon dioxide to improve the termite control effect, particularly in preserving wooden architectural heritage.

목차
ABSTRACT
초 록
재료 및 방법
결 과
고찰 및 결론
사 사
저자 직책 및 역할
Literature Cited
저자
  • 김태헌(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 Tae Heon Kim (Department of Heritag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Graduate School of Cultural Heritag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Buyeo 33115, Korea)
  • 이만희(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 Man Hee Lee (Department of Heritag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Graduate School of Cultural Heritag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Buyeo 33115, Korea)
  • 이현주(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예방보존연구소) | Hyun Ju Lee (Institute of Preventive Conservation for Cultural Heritag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Buyeo 33115, Korea)
  • 정용재(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예방보존연구소) | Yong Jae Chung (Department of Heritag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Graduate School of Cultural Heritag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Institute of Preventive Conservation for Cultural Heritag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