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하계 마리안 소만 빙하후퇴에 따른 식물플랑크톤 변동성 분석 KCI 등재

Phytoplankton Variability in Response to Glacier Retreat in Marian Cove, King George Island, Antarctica in 2021–2022 Summe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581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해양환경안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초록

세종기지가 위치한 마리안 소만은 기후 변화로 인한 빙하후퇴로 다량의 융빙수가 유입되고 있다. 이러한 빙하후퇴에 따른 생 태계 반응을 예측하기 위해, 해양 환경 변화의 지시자인 식물플랑크톤 생체량 및 크기 구조와 물리, 화학적 매개변수에 대한 현장 조사를 2021년 12월, 2022년 1월 두 차례 수행하였다. 2022년 1월의 수온과 염분은 평균 1.41 ± 0.13 ℃, 33.9 ± 0.10 psu로 2021년 1월의 수온과 염분 인 0.87 ± 0.17 ℃, 34.1 ± 0.12 psu보다 상대적으로 고온, 저염의 양상을 보였다. 조사시기 동안 영양염류는 대체로 높은 농도를 보여 식물 플랑크톤의 제한요소로 작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식물플랑크톤 생체량의 지표인 엽록소는 2021년 12월, 2022년 1월에 각각 1.03 ± 0.64 μg L-1, 0.66 ± 0.15 μg L-1로 나타났으며 부유물질은 전체 조사기간 평균 24.9 ± 3.54 mg L-1로 나타났다. 부유물질의 농도가 높은 소만 내측에서 엽록소는 낮은 농도를 보였는데 이는 융빙수로부터 유입되는 고농도의 부유물질로 인해 수층 내 빛이 강하게 제한되어 식물플 랑크톤의 성장이 저해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빙벽 주변 정점에서 크기가 작은 미소 식물플랑크톤이 전체 식물플랑크톤 생체량에서 70% 이상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융빙수 유입으로 유발된 저조도 환경에서 미소 식물플랑크톤의 기여도가 증가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빙하후퇴 지역에서 유입되는 담수와 부유물질이 식물플랑크톤의 생체량 및 군집구조 조절 요인이 될 수 있 음을 시사하며, 결과 자료는 추후 마리안 소만의 탄소순환 변동을 파악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Rapid climate change has resulted in glacial retreat and increased meltwater inputs in the Antarctic Peninsula, including King George Island where Marian Cove is located. Consequently, these phenomena are expected to induce changes in the water column light properties, which in turn will affect phytoplankton communities. To comprehend the effects of glacial retreat on the marine ecosystem in Marian Cove, we investigated on phytoplankton biomass (chlorophyll-a, chl-a) and various environment parameters in this area in December 2021 and January 2022. The average temperature at the euphotic depth in January 2022 (1.41 ± 0.13 ℃) was higher than that in December 2021 (0.87 ± 0.17 ℃). Contrastingly, the average salinity was lower in January 2022 (33.9 ± 0.10 psu) than in December 2021 (34.1 ± 0.12 psu). Major nutrients, including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phosphate, and silicate, were sufficiently high, and thus, did not act as limiting factors for phytoplankton biomass. In December 2021 and January 2022, the mean chl-a concentrations were 1.03 ± 0.64 and 0.66 ± 0.15μg L-1, respectively. The mean concentration of suspended particulate matter (SPM) was 24.9 ± 3.54 mg L-1 during the study period, with elevated values observed in the vicinity of the inner glacier. However, relative lower chl-a concentrations were observed near the inner glacier, possibly due to high SPM load from the glacier, resulting in reduced light attenuation by SPM shading. Furthermore, the proportion of nanophytoplankton exceeded 70% in the inner cove, contributing to elevated mean fractions of nanophytoplankton in the glacier retreat marine ecosystem. Overall, our study indicated that freshwater and SPM inputs from glacial meltwater may possibly act as main factors controlling the dynamics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glacier retreat areas. The findings may also serve as fundamental data for better understanding the carbon cycle in Marian Cove.

목차
1. 서 론
2. 재료 및 방법
    2.1 연구 해역
    2.2 환경요인 및 식물플랑크톤 분석 방법
3. 결과 및 고찰
    3.1 하계 마리안 소만 수온 및 염분의 시공간적 분포
    3.2 하계 마리안 소만 영양염류 시간적 분포
    3.3 하계 마리안 소만 부유물질 및 식물플랑크톤 생체량의시공간적 분포
    3.4 하계 마리안 소만 식물플랑크톤 생체량과 환경 매개변수와의 상관성 분석
4. 결 론
후 기
저자
  • 심초롬(극지연구소 해양연구본부 기술원) | Chorom Shim (Technician, Division of Ocean Sciences, Korea Polar Research Institute, Incheon 21990, Korea)
  • 민준오(극지연구소 해양연구본부 연수연구원) | Jun-Oh Min (Postdoc, Division of Ocean Sciences, Korea Polar Research Institute, Incheon 21990, Korea)
  • 이보연(극지연구소 해양연구본부 기술원) | Boyeon Lee (Technician, Division of Ocean Sciences, Korea Polar Research Institute, Incheon 21990, Korea)
  • 홍서연(국립환경과학원 환경측정센터 전문연구원) | Seo-Yeon Hong (Researcher, Environmental Measurement & Analysis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22689, Korea)
  • 하선용(극지연구소 해양연구본부 책임연구원) | Sun-Yong Ha (Principal Research Scientist, Division of Ocean Sciences, Korea Polar Research Institute, Incheon 21990,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