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부모학력이 아동건강에 미치는 영향 : 아동의 사회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KCI 등재

The Effect of Parents’ Educational Attainment on Children's Health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ren's Social Capita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599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000원
융합인문학 (Korean Journal of Converging Humanities)
한국인문사회질학회 (Korean Association on Humanities & Social Quality)
초록

본 연구는 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 특히 부모의 학력이 아동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아버지 학력과 어머니 학력이 단선적으로 아동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아동의 사회적 네트워크(사회자본)가 어떤 매개효과를 지니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2018)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초등학교 4학년과 그 부모 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아버지의 학력이 아동 의 사회자본 형성에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어머니의 학력은 아동의 건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아동의 사회자본은 아동의 건강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아동의 사회자본은 아버지 학력과 아동건강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세 가지를 제언하였다. 첫째, 부모와 아동 간의 상호작용 및 관계형성을 촉진하기 위하여 유연근무제 같은 일-가정 양립지원책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둘째, 아동의 사회자본 형성 및 증진을 위하여 아동의 사회적 네트워크를 활성화할 수 있는 다양한 사회적 노력들을 경주해야 한다. 셋째, 취약계층의 아동들의 사회적 네트워크 형성을 위하여 지역사회의 교육복지 공동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parents’ socioeconomic background, especially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affects children’s health. More specifically, it attempts to verify the effects of father’s and mother’s education on children’s health. Furthermore, it attempt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ren’s social networks (that is, social capital) during this process. The study used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for the analysis, selecting some fourth graders and their parents as study subjects. As for the analysis method, the study us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analysis found that father’s educa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child’s social capital formation. And mother’s educa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child’s health. In addition, child social capital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health. In particular, child social capital was found to act as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academic background and child health.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made some suggestions. The study suggests it is necessary to expand some systems such as the flexible working system to promote the formation of interac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The study also suggests forming children’s social networks through various dimensions and providing role models through educational welfare communitie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1. 아동건강
    2. 아동건강과 사회자본
    3. 건강의 종합적 측정 : 주관적 건강상태
Ⅲ. 연구방법
    1.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2. 분석자료
    3. 주요 분석변수의 개념과 측정
    4. 자료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1. 주요 변수의 기술통계분석 및 상관관계분석 결과
    2. 측정모형 분석결과
    3. 구조모형 분석결과
    4. 매개효과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저자
  • 권미영(서울디지털대학교 복지학부 강사) | Kwon Mi-young (Lecturer, Div. of Welfare, Seoul Digital University)
  • 박보영(극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 Park Bo-young (Professor, Dept. of Social Welfare, Far East University)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