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재택근무와 직무만족 - 시공간적 유연성과 상사 리더십의 조절효과 - KCI 등재

Working from Home and Job Satisfaction : The Moderating Effects of Temporal and Spatial Flexibility and Supervisory Leadership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621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100원
인적자원관리연구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orean Academ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초록

2020년 초부터 시작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국내외 상당수의 기업들이 비대면 방식으로 업무 형 태를 전환하면서 해당 기업의 많은 조직 구성원들이 재택근무라는 새로운 근무형태를 경험하게 되었다. 그러나 재택근무가 조직 구성원들에게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에 관해서는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다. 이에 본 연구는 재택근무가 일반 기업에 근무하는 직원들의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 는 것을 첫 번째 목표로 삼는다. 다음으로 재택근무를 시행할 때 직원들의 직무만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하여, 재택근무 시 근무하는 공간과 시간의 유연성, 그리고 상사의 지시적 리더십과 임파워링 리더십이 재택근무와 직무만족 간 관계를 어떻게 조절하는지 살펴본다. 국내 소재 중견기업 및 대기업에서 근무하는 435명의 직원을 대상으로 온라인패널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재택근무를 많이 할수록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이 높아진다. 둘째, 재택근 무를 할 때 공간적 유연성이 높아지면 재택근무와 직무만족 간의 정적인 관계가 더욱 강화된다. 하지만 시간적 유연성은 이러한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속 상사의 임파워링 리더십이 높을수록 재택근무자의 직무만족은 강화되었으며, 반대로 상사의 지시적 리더십 성향이 높을수록 재택근무자의 직무만족은 오히려 약화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재택근무가 직무만족을 향상시키는 데 에 유의미한 도움을 준다는 것을 확인함과 동시에, 이전의 연구들에서는 미처 확인하지 못했던 재택근무 자들의 시공간적 유연성과 직속 상사 리더십의 중요성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제공한다. 코로나19 팬데믹 종료 이후에도 지속될 재택근무라는 새로운 근무 방식을 대하는 기업들이 직원들에게 보다 자율적이고 주도적으로 일할 수 있는 근무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As a result of the onset of the COVID-19 pandemic in early 2020, a significant number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have transitioned to a remote work paradigm, with the majority of their employees participating in a novel work arrangement known as "working from home" (WFH). Nevertheless, numerous uncertainties remain regarding the impact of WFH on organizational members. Therefore,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WFH on job satisfaction among employees in a typical company. Furthermore, this study explores how temporal and spatial flexibility, along with supervisory leadership characterized by directive and empowering behaviors,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WFH and job satisfaction. Through an online panel survey and analysis of data from 435 employees working in mid-sized and large companies in South Korea, the following outcomes were observed. First, employees with greater experience in WFH exhibited higher levels of job satisfaction. Second, enhanced spatial flexibility in WFH further reinforced the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WFH and job satisfaction. However, temporal flexibility did not demonstrate a similar moderating effect. Third, empowering leadership from immediate supervisors strenghthene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WFH and job satisfaction, while directive leadership weakened the relationship. These findings affirm the positive impact of WFH on employee job satisfaction, while also shedding light on the crucial role of spatial flexibility, as well as supervisory leadership, for employees working remotely. The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fostering a work environment that allows employees to operate with greater freedom and proactivity in the post-COVID-19 era.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 문제
    1. 재택근무와 직무만족
    2. 시공간적 유연성의 조절효과
    3. 직속 상사 리더십 스타일의 조절효과
Ⅲ. 연구 방법
    1. 자료 수집 및 연구 대상의 특성
    2. 변수의 측정
Ⅳ. 연구 결과
    1. 연구 변인의 기술 통계
    2. 재택근무 정도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3. 시공간적 유연성이 재택근무와 직무만족 간관계에 미치는 영향
    4. 직속 상사의 리더십이 재택근무와 직무만족간 관계에 미치는 영향
Ⅴ. 논의 및 결론
    1. 연구 결과의 이론적 시사점
    2. 연구 결과의 실무적 시사점
    3.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
저자
  • 안종호(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영학과) | Ahn Jong Ho
  • 백연정(아주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 Paik Yon Jeong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