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Induction of Bent Peduncle Phenomenon in Greenhouse Roses and Symptom Alleviation by Malformed Sepal Removal KCI 등재

시설 장미의 꽃목굽음현상 유도와 기형 꽃받침조각 제거 효과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622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화훼연구 (Flower Research Journal)
한국화훼학회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초록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occurrence of the bent peduncle phenomenon (BPP) in roses grown in the greenhouse and alleviate the associated symptoms. Hence, two experiments were designed: high-temperature treatment to induce BPP artificially and removing the abnormal sepals to alleviate BPP-associated symptoms. BPP was readily induced in ‘Beast’ at over 30°C, especially at the early stage of flowering (BBS2, bud break stage 2, shoot length 2 ± 0.5 cm), which explains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temperature and BPP. Moreover, the six varieties, ‘Legato’, ‘Propose’, ‘Beast’, ‘Revue’, ‘Ocean Song’, and ‘Iguana’, showed a variety-specific effect of sepal removal on the alleviation of BPP. The removal of abnormal sepals demonstrated variety-dependent conflicting results: BPP was improved in ‘Legato’ and ‘Revue’, worsened in ‘Beast’ and ‘Iguana’, and remained unaffected in ‘Propose’ and ‘Ocean Song’.

본 연구에서는 장미 시설재배 중에 나타나는 꽃목굽음현상(BPP, bent peduncle phenomenon)의 발생 양상을 이해 하고 증상 완화 방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 계획은 BPP 를 인위적으로 유도하는 고온 처리와 BPP 증상을 완화하기 위한 비정상적인 꽃받침 제거 두 가지로 설계되었다. ‘Beast’ 대상 BPP 유도실험에서 화아분화 초기 BBS2단계(bud break stage 2, 신초길이 2±0.5cm)에 30℃ 이상 고온에서 쉽게 BPP가 유도되어 고온과 BPP의 연관성을 나타냈다. 또한 6품 종(‘Propose’, ‘Beast’, ‘Revue’, ‘Ocean Song’, ‘Iguana’) 을 대상으로 엽상화 꽃받침조각을 제거한 결과 BPP 완화에 미치는 효과는 품종 특이적이었으며, 품종에 따라 상이한 결 과를 보였다. 꽃받침조각 제거 처리로 BPP가 ‘Legato’와 ‘Revue’에서 유의하게 개선되었고, ‘Beast’와 ‘Iguana’에서 는 오히려 악화되었으며, ‘Propose’와 ‘Ocean Song’에서는 증상이 정지하여 효과적이었다.

목차
서 언
재료 및 방법
    식물재료
    화아분화 단계 설정
    고온처리
    꽃받침조각 제거
    통계분석
결과 및 고찰
    고온에 의한 BPP 유도 효과
    꽃받침조각 제거 효과
초 록
저자
  • 서지현(삼육대학교 환경디자인원예학과) | Ji Hyeon Seo (Department of Environmental Design Horticulture, Sahmyook University, Seoul 01795, Korea)
  • 김완순(서울시립대학교 환경원예학과) | Wan Soon Kim (Department of Environmental Horticulture, University of Seoul, Seoul 02504,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