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노인의 인지기능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구강건강관련 요인의 매개효과 KCI 등재

Mediating Effect of Oral Health-Related Facto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Life Satisfaction in Older Adul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634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4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노인들의 인지기능과 삶의 만족도간의 관계에서 노인구강건강요인의 매개효과를 분석하 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 8차 고령화연구패널조사(2020년)에 수집된 60세 이상의 중고령자 6,169명을 대상으로 분석하 였다. 노인구강건강 요인은 노인구강건강평가지수(Geriatric Oral Health Assessment Index; GOHAI)의 기능적 차원 요인, 심리사회적 차원 요인, 통증 및 불편함 요인으로 세분화하였고 각 요인의 매개효과를 Mplus 8.4를 활용하여 경로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 6,169명의 평균 연령은 70.77세였다. 인지기능과 삶의 만족도 사이에서 노인구강건강 요인 중 구강건 강관련 기능적 차원 요인(β = 0.207, 95% Confidence Interval; CI = 0.169, 0.207)이 23%로 가장 큰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났다. 심리사회적 차원 요인은 22%(β = 0.202, 95% CI = 0.171, 0.236), 통증 및 불편함 요인은 16%(β = 0.146, 95% CI = 0.119, 0.175)로 기술한 순으로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결론 : 인지기능과 삶의 만족도 사이에 구강건강 관련 기능적 차원 요인, 심리사회적 차원 요인, 통증 및 불편함 요인이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노인의 인지수준을 고려하고,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구강건강 요인을 세분화하여 파악한 결과를 통해 개개인의 맞춤형 재활치료 접근 전략을 세우고 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높일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oral health fac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elderly. Methods: This study analyzed 6,169 elderly people aged 60 years or older described in the 8th Korean Longitudinal Study on Aging (2020). The oral health factors of the elderly were divided into "functional dimension factors," "psychosocial dimension factors," and "pain or discomfort factors" of the Geriatric Oral Health Assessment Index (GOHAI). To determine the mediating effect of each factor, a path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Mplus 8.4. Results: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oral health factors in the elderly, the functional dimension factor showed the largest partial mediating effect at 23% (β = 0.207, 95% confidence interval; CI = 0.169, 0.207). The psychosocial dimension factor was 22% (β = 0.202, 95% CI = 0.171, 0.236), and the pain and discomfort factor was 16% (β = 0.146, 95% CI = 0.119, 0.175), showing a partial mediating effect. Conclusions: The influence of three oral health-related factors on cognitive function and life satisfaction was confirm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ognitive level of the elderly and identify oral health factors in detail.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ersonalized rehabilitation treatment access strategy and increase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데이터
    2. 연구 대상자
    3. 연구 도구
    4. 연구모형
    5. 통계분석
Ⅲ. 연구 결과
    1. 일반적 특성
    2. 인지기능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구강건강관련 기능적 차원 요인의 매개효과
    3. 인지기능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구강건강관련 심리사회적 차원 요인의 매개효과
    4. 인지기능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구강건강관련 통증 및 불편감 요인의 매개효과
Ⅳ. 고 찰
Ⅴ. 결 론
저자
  • 차선아(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과 박사과정) | Cha Suna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Doctor’s Course)
  • 홍익표(연세대학교 소프트웨어디지털헬스케어융합대학 작업치료학과 부교수) | Hong Ickpyo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Software and Digital Healthcare Convergence, Yonsei University, Associate Professor)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