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희년의 신화적 의미와 해석학적 의미 KCI 등재

The Jubilee: Its Mythical and Hermeneutical Meaning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635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400원
문학과 종교 (Literature and Religion)
한국문학과종교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Literature and Religion)
초록

This paper aims to reveal the multifaceted nuances in the meaning of the Jubilee (Leviticus 25:8-22) from mythological and hermeneutical perspectives. Several themes within the Bible often require multiple interpretive perspectives due to their complexity. Such themes resist a singular interpretive paradigm, as their meanings extend and transform. The Jubilee is such a theme. Expanding, transforming, and completing its meaning through Genesis, Leviticus, Isaiah, Luke, and Revelation, the Jubilee defies closed interpretations mandated by a single paradigm. Its multidimensional meanings demand interpretations rooted in myth, law, prophecy, gospel, and eschatology. This invites new approaches in interpreting the Jubilee, distinct from Levitical traditions. In the luminous context of the Jubilee's distinctive significance, it unfolds a tapestry of mythological interpretation counterpoised to historical narratives, hermeneutical richness contrasting with legal exegesis, and the revelation experienced by individual believers standing in juxtaposition to the collective faith of the community.

본 연구는 희년의 의미를 신화적 관점과 해석학적 관점을 차용한 학제적 관점에서 접근하여 레위기의 전통적 해석으로 포착하기 힘든 희년의 다의적 뉘앙스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필자는 역사적 관점과 대립되는 신화적 관점에서, 율법적 관점과 대립되는 복음의 관점에서, 신앙공동체와 대립되는 개인의 관점에서 희년의 의미를 재해석한다. 4장으로 구성된 본 논문의 2장에서는 레위기 40장에 언급된 희년의 의미를 창조신화의 관련 속에서 살펴보며, 비교 신화학자 엘리아데(Eliade)의 신화이론, 특히 “성스러운 시간”의 개념을 통해서 레위기의 희년을 분석한다. 3장에서는 누가복음에서 예수가 선포한 희년과 레위기에 기록된 희년을 비교 분석하여 희년사상의 확장과 변형을 다룬다. 또한 구약성경에 대한 예수의 새로운 해석 방식과 이를 발전시킨 바울의 모형론적 해석학의 관점에서 희년을 분석한다. 4장에서는 엘리아데의 신화적 시간, 즉 “성스러운 시간”과 레위기의 희년 사이의 유사성을 밝히고, “성스러운 시간”과 레위기의 희년에서는 발견될 수 없는 신약의 희년만이 갖고 있는 두 가지 특징을 규명한다.

저자
  • 임창건(동의대학교) | Changgeon Im (English Department, Dongeui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