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직무만족, 교육신념, 조직몰입, 역할수행의 구조적 관계분석

The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Pedagogical Belief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Role Performance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Educato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644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800원
사교육연구 (The Journal of Private Tutoring Research)
한국사교육연구협의회 (The Korea Association of Private Tutoring Study)
초록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직무만족, 교육신념, 조직몰입, 역할수행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직업적합도와 근무 기관유형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주요변수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보육교사 가 자신의 역할수행을 원활하게 수행함으로써 영·유아교육기관이 교육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보 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보육교사 33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IBM SPSS Statistics 26.0과 AMOS 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직무만 족, 교육신념, 조직몰입의 수준은 보통이었고, 역할수행은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는 직업적합도가 높을 수록 직무만족, 교육신념, 조직몰입, 역할수행에 대한 인식이 높았고, 보육교사가 국·공립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경우, 민간 어린이집 또는 가정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보다 직무만족, 조직몰입(정서적몰입), 역할수행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셋째,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은 교육신념과 조직몰입에, 교육신념은 역할수행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은 역할수행에, 교육신념은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육교사의 직무만 족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육신념은 매개효과가 존재하나, 조직몰입은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 났다. 영·유아교육기관의 교육서비스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보육교사의 근무환경이 국·공립어린이집 수준으로 개선 되어야 하고, 이를 통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수준을 높이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보육교사의 교육신 념을 제고시키기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ifferences from job suitability and workplace types based on job satisfaction, pedagogical belief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role performance and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key variables. Eventually, the ultimate goal is to identify measure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educational services by having educators performing their roles without any issues. To achieve this, a survey has been conducted on 339 early childhood educators, and the programs including IBM SPSS Statistics 26.0 and AMOS 26.0 are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s of job satisfaction, pedagogical belief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perceived by the early childhood educators are average, and the level of role performance is above average. Second, when job suitability is higher, the awareness of job satisfaction, pedagogical belief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role performance are higher. In addition, when the educators work at national or public institutions, their awareness of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emotional) commitment, and role performance is higher than the awareness of the educators working at private organizations. Third, the educators’ job satisfaction has a positive influence on pedagogical belief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ir pedagogical beliefs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role performance. However,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does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role performance, and pedagogical beliefs do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ourth, in terms of the influence of the educators’ job satisfaction on role performance, pedagogical beliefs do show a mediating effect, while organizational commitment does not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educational services provided by the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the work environment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ors should be improved to the level of the national and public daycare. Also, there should be measures to increase the levels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educators and trainings to enhance their pedagogical beliefs.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Ⅱ. 이론적 배경
    1. 직무만족
    2. 교육신념
    3. 조직몰입
    4. 역할수행
Ⅲ.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3. 측정도구
    4.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1.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직무만족, 교육신념, 조직몰입, 역할수행에 대한 인식과 직업적합도 및 근무기관 유형에 따른 차이
    2.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직무만족, 교육신념, 조직몰입, 역할수행의 구조적 관계
Ⅴ. 결론 및 제언
저자
  • 류선영(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졸업생) | Ryu Senyoung (Kwangwoon Universtiy)
  • 김성길(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 | Kim Seong-gil (Kwangwoon Universti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