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인지적 안녕감 수준에 따른 다양한 감정의 지각된 빈도 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대표 감정 도출 KCI 등재

Derivation of Representative Emotions Through Analysis of Perceived Frequency Profiles of Various Emotions According to Levels of Cognitive Well-Be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657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2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This study determines whether the perception of the frequency of experiencing positive, negative, and surprise emotions changes according to the level of cognitive well-being. Furthermore, we determined practical means to analyze which emotions can be managed in daily life as an effective means of improving overall life satisfaction by identifying representative specific emotions that strongly predict the level of cognitive well-being. To this end, the between-subjects factorial design is adopted to measure the frequency of emotional experiences according to the level of cognitive well-being in 438 university undergraduate students. For cognitive well-being, the life satisfaction scale (SWLS) was used, and the PANAS-X scale was used to measure emotional frequency. As a result, first, the group with high cognitive well-being displays a higher frequency of positive and surprise emotional experiences and a lower frequency of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s than the group with low cognitive well-being. Second, the results confirm that representative emotions affecting cognitive well-being included 8 positive emotions, 7 negative emotions, and 1 surprise emotion. Among them, positive emotions include “happy” and “confident,” negative emotions include “dissatisfied with self” and “disgusted with self,” and surprise emotions include words such as “amazed.” Therefore, we can conclude that the representative emotions are those with the greatest influence on cognitive well-being. Therefore, increasing the frequency of specific emotions (e.g., happy, confident, and surprise) and decreasing the frequency of others (e.g., dissatisfied with self and disgusted with self) could be effective in improving cognitive well-being than unconditionally examining emotions experienced in daily life.

본 연구의 목적은 인지적 안녕감 수준에 따라 감정 경험에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고, 인지적 안녕감 수준을 강하 게 예측하는 대표적인 구체적 감정들이 무엇인지 확인함으로써 일상에서 사람들이 어떠한 감정을 관리하는 것이 전 체적인 삶의 만족도 증진에 효과적인지에 대한 실용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함에 있다. 이를 위해 참가자간 요인설계 (between-subjects factorial design)를 채택하여 학부생 438명을 대상으로 인지적 안녕감 수준에 따른 감정 경험 빈도 를 측정하였다. 인지적 안녕감은 생활만족도 척도(SWLS)로 측정하였으며, 감정 빈도는 PANAS-X 척도로 측정하였고, 조사 후 인지적 안녕감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집단을 나누어 감정 프로파일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인지적 안녕감이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에 비해 전반적으로 긍정감정, 놀람감정의 경험빈도가 높았고 부정감정 경험빈도가 낮았다. 둘째, 인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감정은 긍정 8개, 부정 7개, 놀람 1개임을 확인하였다. 특히 긍정은 ‘즐거운(happy)’, ‘자신감 있는(confident)’, 부정은 ‘나 자신에게 만족하지 못하는(dissatisfied with self)’, ‘나 자신이 역겨운(disgusted with self)’, 놀람은 ‘경탄을 자아내는(amazed)’ 감정이 인지적 안녕감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쳤다. 본 결과를 통해 일상에서 경험하는 감정을 무조건 긍정-부정으로만 살펴볼 것이 아니라, 인지적 안녕감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특정한 감정들의 경험 빈도는 높이고(ex. 즐거움, 자신감), 특정한 감정의 경험 빈도는 줄이는 것(ex. 자신에 대한 불만족, 역겨움)이 더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목차
1. 서론
2. 이론적배경
    2.1. 인지적 안녕감과 정서적 안녕감
    2.2. 감정에 관한 연구
    2.3. 감정과 인지적 안녕감에 관한 연구
3. 연구문제 및 방법
    3.1. 연구문제
    3.2. 설계 및 참가자
    3.3. 재료(측정도구)
    3.4. 절차 및 측정방법
4. 연구 결과 및 논의
    4.1. 인지적 안녕감 집단 범주화
    4.2. 긍정 감정 빈도 지각 프로파일과 대표 긍정 감정
    4.3. 부정 감정 빈도 지각 프로파일과 대표 부정 감정
    4.4. 놀람 감정 빈도 지각 프로파일과 대표 놀람 감정
5. 종합논의 및 결론
    5.1. 결과 요약
    5.2. 시사점
    5.3. 한계와 향후 연구제안
저자
  • 한다혜(서울대학교 소비자학과 박사) | Dahye Han
  • 이국희(경기대학교 교양학부 조교수) | Guk-Hee Lee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