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대학원생의 인지적 유연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리터러시와 협력적 조절의 매개효과 KCI 등재

Influence of Cognitive Flexibility on Graduate Students’ Innovative Behavior: The Mediating Effects of Digital Literacy and Co-Regul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696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300원
미래교육연구 (The Journal of Future Education)
한국미래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of Future Edcation)
초록

본 연구는 대학원생의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지적 유연성, 디지털 리터러시 및 협력 적 조절 간의 구조적 관계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대학원생의 인지적 유연성이 혁신행동에 영 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디지털 리터러시와 협력적 조절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지 살펴보는 데 중 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S 국립대학 소속 대학원생(N= 1,062)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응답을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으며, 변인 간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적 유연성은 혁신행동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둘째, 두 매개변인 디지털 리터러시와 협력적 조절 모두 대학원생의 혁신행동에 각 각 정적인 직접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셋째, 대학원생의 인지적 유연성과 혁신행동 간 의 관계에서 디지털 리터러시와 협력적 조절의 개별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했으며, 두 변인의 이중매개효과 역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업 환경에서 주로 연구되어 왔던 인지적 유연성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를 대학원 교육의 맥락으로 확장하여 탐구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크 다. 또한, 대학원생의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행동적, 사회적 변인을 고려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시사점을 가진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원생의 혁신행동 제고를 통한 새로운 지식 창출과 국 가경쟁력 강화를 위해 대학원 차원에서의 실천적 노력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lexibility, digital literacy, and co-regulation. This study also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digital literacy and co-regulation on the relation between graduate students' cognitive flexibility and innovative behavior. To this end, we analyzed survey data from 1,062 graduate students at a public university in Seoul, South Korea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ognitive flexibility had a direct positive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Second, digital literacy and co-regulation each had a direct positive effect on graduate students' innovative behavior. Third, the individual mediating effects of digital literacy and co-regula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the two variables were also significan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tended the study on cognitive flexibility and innovative behavior to the context of graduate education. In addition, it considered behavioral and social variables as well as cognitive constructs that can affect graduate students' innovative behavior. This study also suggests the necessity of taking practical actions to enhance the innovative behavior of graduate student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인지적 유연성과 혁신행동의 관계
    2. 인지적 유연성, 혁신행동 및 디지털 리터러시의 관계
    3. 인지적 유연성, 혁신행동 및 협력적 조절의 관계
    4. 디지털 리터러시와 협력적 조절의 관계
Ⅲ. 연구방법
    1. 연구모형
    2. 연구대상
    3. 연구도구
    4. 분석 방법
Ⅳ. 연구결과
    1. 기술 통계 및 상관분석 결과
    2. 측정모형의 검증
    3. 구조모형의 검증
Ⅴ. 결론 및 제언
저자
  • 김효정(Indiana University Bloomington 박사과정) | Kim Hyojung
  • 정수정(서울대학교 경력개발센터 BK 조교수) | Jeong Soojeong 교신저자
  • 김유겸(서울대학교 체육교육과 교수) | Kim Yukyo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