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디지털 매체 회상치료에 관한 체계적 고찰 KCI 등재

Systematic Review of Digital Media Reminiscence Therapy in Persons with Dementia (Pw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706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ssistive Technology)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ssistive Technology)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치매 환자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회상치료의 중재 방법과 효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에서는 Google Scholar, Pubmed에서 제공되는 연구논문들 중 2012월 1월 부터 2021년 12월 까지 발표된 자료를 수집하였다. 포함 및 배제기준을 적용하여 6개의 논문이 분석대상으로 사용되었다. 이 연구들은 연구의 근거기반 질적 수준 분석모델에 따라 분류하였고 PICO로 정리하였다. 검색어는 “치매” AND “회상치료”, “dementia” AND “reminiscence therapy” AND “media” OR “digital” OR “app”로 사용하였다. 결과 : 디지털 회상치료에 대한 연구는 2015년, 2016년, 2020년은 각각 1편, 2021년은 3편, 총 6편으로 이루어져 있으 며, 태블릿을 활용한 회상치료, 디지털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회상치료, 디지털 동영상을 활용한 회상치료, VR기기를 활 용한 회상치료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중재에 적용하였다. 디지털 회상치료를 적용하였을 때, 우울 감소, 삶의 질, 인지기능 향상의 효과가 가장 많았으며 평가도구는 MMSE(Mini-Mental State Examination)가 가장 많이 사용된 것 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회상치료의 중재 방법과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태블릿을 활용한 회상치료, 디지털 소프 트웨어를 활용한 회상치료 등이 있었으며 우울 감소, 삶의 질 향상 등의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연구에서는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회상치료 간의 비교를 통해 어떠한 디지털 매체가 회상치료에 적용되었을 때 더 효과 가 있는지 비교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Objective : To investigate intervention methods and effects of Reminiscence Therapy using digital media that can be applied to persons with dementia. Methods : In this study, 6 of studie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criteria using RISS and Pubmed databases. As search terms were "dementia" AND "reminiscence therapy" in Korean and "dementia" AND "reminiscence therapy" AND "media" OR "digital" OR "app" in English. The studies to be analyzed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research-based qualitative level analysis model and summarized as PICO. Results : 6 of studies consists of 1 study each in 2015, 2016, and 2020, and 3 studies in 2021. Various digital media such as tablet, digital software, digital video, and VR devices were applied to the intervention. The effect of reducing depression, improving quality of life, and cognitive function was confirmed the most. As for the evaluation tool, MMSE was most commonly used. Conclusions : Reminiscence Therapy using a tablet and digital software were used, and there were effects such as reduction of depression and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expected that future research will actively conduct comparative research on which digital media is more effective when applied to Reminiscence Therapy.

목차
I. 서 론
Ⅱ. 연구 방법
    1. 문헌검색 및 자료수집
    2. 분석내용
Ⅲ. 연구결과
    1. 대상 문헌의 질적 수준
    2. 평가도구
    3. 중재 유형
    4. 중재 효과
    5. 비뚤림 위험 평가
Ⅳ. 고찰
Ⅴ. 결론
저자
  • 이채린(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학부 과정) | Lee Chae Li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onyang University)
  • 최호빈(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학부 과정) | Choi Ho-bi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onyang University)
  • 백승학(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학부 과정) | Baek Seung-Hak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onyang University)
  • 하은지(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학부 과정) | Ha Eun-Ji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onyang University)
  • 최진혁(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학부 과정) | Choi Jin Hyeok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onyang University)
  • 유두한(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부교수) | Yoo Doo-Ha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onyang University, Associate professor)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