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이산화탄소 분리를 위한 이온성 액체 기반 복합 멤브레인: 총설 KCI 등재

Ionic Liquid Consisted of Composite Membrane for Carbon Dioxide Separation: A Review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726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멤브레인 (Membrane Journal)
한국막학회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초록

가스 분리 방법 중에서도, 멤브레인을 이용한 CO2 포집 및 분리는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꾸준히 성장하는 분 야이다. 이온성 액체(IL) 기반 복합 막은 CO2를 분리하는 데 있어 우수한 성능값을 보여준다. 유사하게, 다양한 공중합체/IL 복합막 또한 향상된 성능을 보여준다. 이러한 공중합체/IL 복합만에 산화그래핀과 같은 필러를 첨가하면 IL과 유기 필러 사 이에서 발생하는 강한 상호작용으로 인해 필러의 효과가 더욱 향상되며, 이는 결과적으로 CO2의 친화도, 선택도 및 흡착과 같은 요소를 향상시킨다. 금속-유기 구조체(MOF)를 사용하는 공중합체/IL 복합 막은 향상된 CO2 투과도를 보여주었다. 이 총설에서는 이온성 액체와 공중합체복합막의 다양한 조합에 따른 이산화탄소분리성능에 대한 상관관계를 논의한다.

Even among gas separation methods, CO2 capture and separation via membranes is an ever-growing field, with many different membrane compositions continually being developed. Ionic liquid (IL) based composite membranes show excellent performance values in separating CO2. Similarly, various copolymer/IL composite membranes also display improved performance. The addition of fillers such as graphene oxide to these copolymer/IL composite membranes shows a further enhanced version of these fillers, most likely due to the strong interactions that occur between ILs and organic fillers, which consequently improves factors such as the affinity, selectivity, and adsorption of CO2. Copolymer/IL composite membranes utilizing a metal-organic framework (MOF) showed improved CO2 permeability. This review discusses the study of various combinations of ionic liquid and copolymer composite membranes for carbon dioxide separation.

목차
1. Introduction
2. Ionic Liquid and Polymer CompositeMembrane
3. Ionic Liquid and Graphene OxideComposite Membrane
4. Ionic Liquid and Metal Organic FrameworkComposite Membrane
5. Conclusions
저자
  • Young Simon Shi Young(Energy and Environmental Science and Engineering, Integrated Science and Engineering Division, Underwood International College, Yonsei University, Incheon 21983, Korea) | 영 사이먼 시 영 (연세대학교 언더우드학부 융합과학공학부 에너지환경융합전공)
  • Rajkumar Patel(Energy and Environmental Science and Engineering, Integrated Science and Engineering Division, Underwood International College, Yonsei University, Incheon 21983, Korea) | 라즈쿠마 파텔 (연세대학교 언더우드학부 융합과학공학부 에너지환경융합전공)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