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human androgen receptor (AR)–mediated endocrine disrupting potential of parabens and triclosan in food and household products using a cell-based assay in the OECD TG No.458, the 22Rv1/MMTV_GR-KO transcriptional activation assay. Four parabens (methyl-, ethyl-, propyl-, and butyl-) are determined as AR antagonists in OECD TG No.458. However, their AR antagonistic effects were not exhibited in the presence of the S9 hepatic fraction. Triclosan is also classified as an AR antagonist, and the AR antagonistic effect induced by triclosan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presence of the phase I + II S9 fraction. Regarding the mechanism of AR antagonism induced by parabens and triclosan, the AR-mediated endocrine disrupting effects were exhibited through suppressing the translocation of ligand-bound AR to the nucleus via blocking of AR dimerization in the cytoso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four parabens and triclosan have AR-mediated endocrine disrupting potential through an AR antagonistic effect via inhibiting AR dimerization; however, their endocrine disrupting effects deceased in the presence of hepatic metabolic enzymes.
본 연구는 OECD TG No. 458, 22Rv1/MMTV_GR-KO 전사 활성화 분석법을 포함한 세포 기반 분석법을 사용하 여 식품 및 생활용품에 포함된 파라벤과 트리클로산의 인 간 안드로겐 수용체를 매개하는 내분비계 교란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4가지 파라벤(메틸-, 에틸-, 프 로필-, 부틸-)은 OECD TG No.458에서 AR 길항제로 확 인된 반면, 파라벤의 AR 길항 효과는 S9 간 분획물이 있 는 경우 나타나지 않았다. 트리클로산 역시 AR 길항제로 분류되었으며, 트리클로산에 의해 유도된 AR 길항 효과 는 S9 간 분획물이 존재할 때 제 1상+2상 대사에서 유의 하게 감소되었다. 파라벤과 트리클로산에 의해 유도되는 AR 길항 기전은 세포질 내 AR 이량화를 차단하여, 리간 드 결합 AR이 핵으로의 전위를 억제함으로써 AR 매개 내분비 교란 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4가지 파라 벤과 트리클로산이 AR 이량화 저해를 통한 AR 길항 효 과를 나타내는 AR 매개 내분비 교란 가능성을 가지고 있 으나, 간 대사 효소가 존재할 경우 내분비 교란 효과는 감 소됨을 시사한다.